1980년 불황이 불어닥친 빌바오는 주력산업인 철강산업이 붕괴되고 실업률은 한때 35%까지 치솟아 범죄가 증가하고 주민이 떠나는 도시로 몰락했다. 절망의 도시에서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가 손을 맞잡고 미술관 건립에 나서면서 이 도시는 세계적 문화관광도시로 거듭난다. 물론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력과 창의 정신이 힘을 보탰다.
빌바오에서 보듯이 도시의 재탄생은 산업분야에서만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도시가 가진 창의력과 주민들의 끈질긴 집념 등으로 기적을 일궈낼 수 있다. 특히 빌바오는 구겐하임 미술관이라는 독특한 문화적 콘텐츠로 매년 100만명의 관광객을 불러들이고 있다.
대구는 27년간 GRDP(지역내 총생산) 전국 꼴찌다. 250만 도시는 매년 수만명의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떠나고 있으나 이를 막을 현실적 대안은 보이지 않는다. 수도권 초집중이라는 기형적 한국 현실에 기인하고 있는 문제지만 중앙 정부는 이를 해결할 의지도 없다.
국토 균형발전이라는 명분은 있으나 지방에 분산해야 할 큰 일이 있을 때마다 중앙 정부는 인구와 교통의 편리성을 이유로 수도권에 모든 것을 세웠다. 2019년 120조원이 투입되는 SK반도체 클러스트 공장 후보지가 대표적이다. 경북 구미와 충청권에서 유치전을 벌였으나 수도권 규제 제한에도 용인이 후보지로 결정됐다.
이건희 국립미술관 유치를 위해 대구시가 파격적 제안을 했다. 이건희미술관 및 관련 시설 건축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구시가 전액 부담하겠다는 것이다. 대략 소요비는 2천500억원에 이르며 시비와 시민 성금으로 지원하겠다고 한다. 또 삼성과 관련한 대구의 모든 스토리를 관광 인프라로 동원해 대구에서 빌바오 효과를 창출하겠다고 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시민 열망에 부응하고 문화 향유권 신장과 국가균형발전에 앞장서야 하는 사명감에서 시작한다”고 말했다. 대구는 이건희 회장이 태어난 곳이자 삼성 창업의 본향이다. 연고 측면에서 대구를 따라 갈만한 곳은 없다. 대구시의 파격적 제안은 국가균형발전의 열망을 담은 것이기도 하지만 빌바오 효과에 대한 강렬한 기대감도 반영했다. 대구시 제안에 담은 깊은 뜻을 중앙 정부는 잘 헤아려 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