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착륙 관광비행은 한국에서 비행기를 타고 출발해 다른 나라 상공을 날다가 다시 한국 공항에 내리는 관광 상품을 말한다. 착륙 없이 외국 영공에서 회항해 출발지로 돌아오는 비행이지만, 정식 출입국 절차를 거친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장기간 국제선 운항이 중단돼 항공·관광·면세업계가 생존 위기에 직면하자 정부가 지난해 11월 허가한 관광상품이다.
최근 항공사마다 이 관광상품을 잇달아 내놓으면서 운임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하자 고객이 급증하고 있다고 한다. 이 관광상품의 탑승률이 대부분 90%대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코로나19 종식 후 가장 하고 싶은 일’을 묻는 말에 많은 응답자가 여행이라고 말하는 것만 보아도 해외여행에 대한 국민의 갈증이 얼마나 큰지를 알 수 있다. 무착륙 관광비행의 경우 일반 국제선 여행과 동일하게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이 인기의 요인이다. 미화 600달러 한도로 술 1병, 담배 200개비, 향수 60mL까지 구매가 가능하다. 기내 면세점은 물론 시내, 출국장, 입국장 면세점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비행기에 탑승할 때 검역·방역 절차를 진행하지만 입국 후 격리 조치, 진단 검사는 면제한다.
일각에서는 코로나19가 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주도해서 무착륙 관광비행을 촉진하는 데 대해 적절성 논란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해외여행이 완전히 막힌 후 항공·여행업계가 사실상 생존의 기로에 서 있는 점을 감안하면 정부의 조치에 대해 이해할 수도 있다. 해외관광 수요를 위해 기획한 무착륙 관광비행이 관광객들에게 여행의 즐거움과 위안을 주면서 항공·여행업계의 돌파구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