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디지털 치매

등록일 2021-04-26 18:36 게재일 2021-04-27 19면
스크랩버튼

‘디지털 치매’는 10~30대 젊은이들이 문명의 이기에 과도하게 의존하면서 치매와 유사한 인지적 저하를 보이는 일련의 증상을 가리킨다. 젊은 나이에 겪는 심각한 건망증이라 해서 ‘영츠하이머’라고도 한다.

실제로 20~30대 젊은 친구들이 인터넷 검색창을 띄우자 마자 자신이 뭘 검색하려했는 지 생각이 나지 않거나 메시지를 주고 받는 과정에서 자신이 어떤 말을 하려고 했는 지 기억나지 않는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적지않다.

디지털 치매는 스마트폰이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마트 폰이 인간 뇌를 대신해 ‘기억’을 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주변 사람의 연락처나 생일뿐만 아니라 일상에서 필요한 사소한 일들에 대한 기억도 메모기능이 대신하고 있다. 디지털 치매 진단을 위해 다음 증상 가운데 2가지 이상 해당된다면 위험성이 높다. △전화번호는 회사번호와 집 번호밖에 외우지 못한다. △전날 먹은 식사메뉴가 생각나지 않는다. △처음 만났다고 여긴 사람이 이전에 만난 적이 있던 사람이다. △같은 얘기를 반복한다는 지적을 받은 적 있다 △아는 한자나 영어단어의 뜻을 잘 기억하지 못한다. △애창곡인데 가사를 보지 않으면 노래를 부르지 못한다. △몇 년째 사용중인 집전화번호가 떠오르지 않을 때가 있다.

이같은 디지털 치매를 예방하려면 메모하는 습관을 들이고, 뇌 전체의 고른 발달을 위해 머리를 쓰는 다양한 취미생활과 함께 신문이나 TV 통해 세상일에 관심을 갖고, 술 담배를 삼가하는 것이 좋다.

무엇보다 충분한 수면과 규칙적인 운동, 그리고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많이 먹는 게 두뇌건강에 도움이 된다. 너무 당연한 말이지만 건강한 삶은 건강한 두뇌가 있어야 가능하다.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