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외동의 괘릉초등학교 운동장 양지바른 곳에 빗돌 하나가 서있다. 우뚝 선 돌엔 ‘아산 장씨 홍모여사 시혜 불망비’라는 비명이 선명하다. 정문 노거수 아래 잡초와 덤불에 묻혀 있던 것을 단장해 현재 장소로 옮겼다. 뒷면 비석문 내용의 일부를 옮겨본다. ‘…. 어린이가 멀고 위험한 곳을 눈비와 추위에도 지칠 줄 모르고 오늘도 늦을세라 종종 걸음 치면서 학교에 다니던 그 딱한 실정을 뼈저리게 느끼시고 교사 일동과 부지를 기꺼이 희사하시어….’ 학교 부지와 본관동을 희사한 장홍모 여사의 덕을 기려 1965년에 주민들이 기념비를 세웠다. 뜻있게 살다간 여성들의 삶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안, 이 학교 박정재 교장선생님의 초대로 장홍모 여사에 관한 얘기를 들을 수 있었고, 여사가 기거했던 종가 수봉정도 함께 둘러보게 되었다.
장홍모 여사(1890-1968)는 수봉 이규인(秀峯 李圭寅) 선생의 손부이다. 경주 유금의 아산 장씨 가문에서 괘릉에 터전을 잡은 명문 수봉가로 출가했다. 일제강점기를 건너던 수봉 선생의 철학은 개인의 입신양명이 아니라 부의 축적을 통한 사회 환원에 있었다. 이용후생의 실용주의 노선으로 ‘의식주가 해결된 이상의 것은 내 것이 아니다’는 신념으로 이웃과 겨레에 도움이 되는 삶을 추구했다. ‘이수봉정’(李秀峯亭)이라는 재단을 설립해 빈민구제와 의료 사업에 힘썼고, 밖으로는 독립운동을 지원하고 교육 사업에 매진했다. 수봉 선생은 홍모 여사를 전적으로 신뢰하고 지지했다. 홍모 여사가 수봉가의 안살림을 이어받았을 때도 그 믿음에는 변함이 없었다.
학교 뒤쪽 언덕 너머 들 한가운데에 기품 서린 저택이 보였다. 수봉정 안채에 들러 선생의 6대손인 젊은 부부를 만날 수 있었다. 어린 딸을 넓은 자연 품에서 키우고 싶어 아파트 생활을 청산하고 종가댁으로 들어왔단다. 수봉정은 학당과 의국으로 이루어진 수봉정과 사저로 구분되어 있다. 사저 회랑 입구에는 잠시 수봉정에 머물렀다던 의병장 신돌석 장군이 들었다는 돌이 보이고, 무해산방과 열락당이란 사랑채가 차례로 보인다. 이곳 사랑채에서 수봉 선생은 가난한 이를 구제하고, 의료 혜택을 구상하고, 독립운동 자금 후원을 실천했다. 그 너머가 수봉 선생을 모시며 홍모 여사가 살림을 꾸려나간 안채이다.
당시 일제의 수탈로 배고픈 과객들이 넘쳐났다. 당시 수봉가를 드나들던 객들은 하루 평균 오십여 명이었다. 과객과 상주객 그리고 집안 식구들, 그 많은 입들의 하루 세 끼를 실질적으로 진두지휘한 사람이 홍모 여사였다. 여사의 숨결과 손때가 가장 많이 배었을 곳간채에 자연스레 눈길이 머물렀다. 이 곳 말고도 서너 채의 곳간이 더 있었다고 하니 살림 규모와 구휼의 정도를 짐작할 수 있었다. 음식 장만처와 객들의 기거처를 분주히 오갔을 홍모 여사와 집안 여성들의 노고를 생각하니 절로 숙연해진다.
수봉정 옆 고샅길을 따라 기와집들이 나란하다. 한때 수봉가가 친족을 이뤄 살던 곳이란다. 정원을 잘 가꾼 한 집으로 들어간다. 코가 크고 혈색이 좋은 이상돈 어르신 역시 수봉가의 후손으로 홍모 여사의 시종조카라고 했다. 홍모 여사에 대해 기억나는 것이 있느냐고 여쭈었다. 큰 키와 수려한 용모를 지닌 여장부에다 역사에 밝은 독서가였다고 한다. 객들이 들어찰 때는 쌀 몇 가마니, 소다리 몇 개씩을 찢어 곳간 하나를 내주며 직접 해먹으라고 할 만큼 통이 큰 분이셨단다. 개인적으로는 아이를 낳았을 때 ‘코쟁이가 어린 코쟁이를 낳았네’하시며 미역꾸러미를 내놓던 일이란다. 추억과 회한에 젖은 어르신은 몇 번이나 울먹거리신다.
수봉가의 핵심 사상 중의 하나가 교육사업이었다. 일제의 탄압을 견디면서 경주중학교를 설립한 수봉 선생은 끝내 개교를 보지 못하고 돌아가셨다. 삼 년 간 병구완을 하던 홍모 여사가 개교를 지켜본 셈인데, 이때 벌써 육영정신이 계승되었을 것이다. 괘릉에 초등학교가 없어 먼 길을 다녀야한다는 것을 안타까이 여긴 홍모 여사는 기꺼이 학교 부지와 교사동을 희사했던 것이다.
현재 괘릉초등학교는 장홍모 여사 관련 기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여사의 캐릭터를 공모해 제작에 들어갔고 그에 관한 여러 스토리텔링 작업을 기획하고 있다.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홍모 여사의 정신이 동심에도 스며들기를 바라본다. 수봉 선생을 도와 가난한 주변을 돌보고, 독립운동을 지원하고, 교육 사업에 앞장선 홍모 여사의 활동이 심도 있는 학술서로 재조명되기를 바라면서 괘릉 마을을 떠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