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언택트 송년회

등록일 2020-12-07 18:59 게재일 2020-12-08 19면
스크랩버튼

한해의 마지막인 12월이면 송년회(送年會) 모임으로 바쁜 시즌이다. 송년회는 한해를 보내며 반성하는 자세를 가진다는 뜻이다. 특히 송년회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망년회(忘年會)는 지난해의 온갖 수고로웠던 일들을 잊어버리자는 뜻이다. 이는 일본식 한자어 표현이므로‘송년회’로 쓰는 것이 좋겠다.

올해는 코로나19의 3차 대유행으로 전국에 비상이 걸린 상황인지라 송년회 풍속도가 언택트 송년회로 크게 바뀌고 있다. 평소 같으면 송년회로 왁자지껄하게 붐볐을 식당은 텅 비어 한산한 대신 새로운 풍속도가 생기고 있다. 바로 온라인으로 만나는 랜선 송년회가 여기저기서 열리고 있는 것. 한 취업포털이 성인남녀 1천2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1%가 올해 송년회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대신 화상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비대면 행사는 더 활발해질 전망이다.

실제로 랜선 송년회를 준비하는 기업 행사 진행직원들이 노트북 앞에 소품을 비추며 온라인 송년회 리허설을 하느라 분주하다. 집과 사무실에 흩어진 직원들은 화면을 보며 한해를 보내는 소감을 말해본다.

또 다른 기업 송년회 현장에서는 노트북 앞에 있는 진행자의 지시에 따라 화면 안에서 직원 30여 명이 저마다 하고 싶은 말을 적는다.

노트북 앞에 앉은 진행자가 종이를 들어 보이며“화이트 보드를 이렇게 들어주세요. 화이트 보드.”라고 주문한다. 화이트 보드에는 저마다 한해를 보내며 기업과 가정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말들이 빼곡히 적혔다. 행사대행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11월부터 대면 행사는 아예 제로가 돼버렸고, 비대면 행사가 거의 100%를 채우고 있다. 코로나19로 피할 수 없었던 언택트 송년회는 올해가 마지막이 되길 기원해본다.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