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수능 스트레스

등록일 2020-12-06 19:56 게재일 2020-12-07 19면
스크랩버튼

코로나19라는 위태한 분위기 속에 치러진 올해 우리나라 수능은 세계가 주목했다. 프랑스는 200년의 역사를 가진 대입자격 시험인 바칼로레아를 코로나로 인해 올해는 취소했다. 제2차 세계대전 속에서도 바칼로레아 시험을 치렀던 프랑스는 한국에서의 수능 강행을 놀라운 눈으로 바라보았다고 한다.

지난 4월 총선에서 보여준 한국의 방역 능력에 이어 이번 수능 강행에 대해서도 세계 각국은 매우 놀랍고 진지한 모습으로 지켜볼 것 같다.

‘프랑스인이 코로나 바이러스 창궐에 의해 자격시험을 포기했던 것과는 달리 한국의 수능 강행은 수능이 우리 사회에 차지하는 비중과 의미가 그만큼 크고 중요하다는 것을 뜻한다.

포항에서 지진이 발생하고 난 다음해 포스텍의 한 연구소가 수험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포항시내 수험생은 지진 트라우마보다 수능에 대한 부담이 더 컸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예상을 넘어선 이런 반응에 대해 연구소 측은 한국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경쟁적 구도의 위력이라 분석했다.

우리나라에서 실시되는 수능은 일종의 성인이 되는 관문적 역할을 한다. 12년간의 초중고 학업 성과를 최종 평가받는 시험인데다 이 성적을 바탕으로 대학 진학의 길이 갈라진다. 또 대학과 전공의 선택에 따라 취업의 길도 달라지는 것이다.

그래서 학창시절에는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수능에서 좋은 성적을 내는 것이 목표다. 학생은 물론 수험생의 부모도 이런 목표에 올인한다.

수능을 앞둔 수험생의 스트레스야 더이상 설명할 것도 없다. 특히 올해는 수험생이 코로나와 함께 이중고를 겪어야 했다. 수능을 마친 수험생의 스트레스를 덜어줄 가정과 학교에서의 관심과 애정이 절실한 시기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