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잊혀져가는 국민교육헌장

등록일 2020-12-06 19:33 게재일 2020-12-07 18면
스크랩버튼
윤영대수필가
윤영대수필가

12월 5일, 다이어리를 넘기다가 ‘아, 오늘이 국민교육헌장 기념일이지.’하고 자세히 들여봤으나 그곳에는 무역의 날, 자원봉사자의 날이라는 표시뿐이다. 알아보니 달력에서 사라진 지 벌써 17년이나 되었다고 한다.

국민교육헌장은 1968년 6월 박정희 대통령이 ‘국민교육의 장기적이고 건전한 방향의 정립과 시민 생활의 건전한 윤리 및 가치관의 확립’을 통한 국가발전 방안의 추진을 지시하여 사회 각계각층의 전문가로 위원회를 만들고 수차례의 회의를 거쳐 12월 5일 선포한 교육지표이다. 당시 자유중국의 장제스 총통은 “기선을 빼앗겼다.”며 부러워했다고 한다.

‘우리는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로 시작되는 400여 자의 이 교육장전(敎育章典)은 가정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의 근본 지표이다. 자신의 존재가치를 깨닫고 우리 민족의 전통과 유산을 계승 발전시키고 민족문화를 창조하여 세계 공영의 길로 나아가자는 각오는 7,80년대 학창시절에 외우기도 한 익숙한 문구이다. 학문과 기술을 익혀 자신을 계발하자는 것도 당시 물량적 발전에 몰두하고 있는 국민의 정신을 질서와 신의 등을 기본으로 한 협동 정신으로 뭉쳐 국민의 새로운 가치관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리라. 또 책임과 의무를 다하여 국가 건설에 참여하고 반공과 민주주의를 실현하여 통일된 조국을 내다보며 새 역사를 창조하자는 취지이다.

이제 돌아보니 국민교육헌장이 발표된 지 50년, 반세기가 지났다. 그동안 우리는 창의와 협력을 바탕으로 국가를 발전시켜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를 넘어 세계 10위권의 경제선진국 대열에 들었고 수출도 연간 6천억 불을 달성했다. 새로운 역사를 창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국민교육헌장의 의미를 깨닫고 스스로 노력한 덕분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1973년 이후 20여 년간 정부주관 기념일로서 학생들에게는 암기대회도 열고 스승에 대한 공경의 행사도 하며 국민의 가슴에 공감을 일으켰으나 박정희 유신정권의 반공독재 교육의 산물이요 일제시대 교육의 잔재가 남았다는 비판도 받은 듯하다. 그리하여 민주화 이후 암기 강요와 이념교육강화라는 트집을 잡아 폐지론이 대두되어 헌장은 초중고 교과서에서 삭제되어 버렸고 노무현 정부 때인 2003년 11월 기념일도 폐지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고 한다. 관련 자료를 뒤져보니 국민교육헌장에 대한 색다른 해석들도 많다. 태어날 때 역사적 사명을 띠고 태어나지 않았는데 국가 건설에 무조건적인 충성과 노동을 강요하며 참여시킨다는 의견도 있고 강압적 주입식 교육의 지침이라고 까지 말하는 사람도 있다. 이 헌장을 외우면서 고통을 받았다는 회고담도 있으니 이 모두가 그야말로 어이없는 생각들이다.

성실한 마음과 몸으로 배우고 익혀서 책임과 의무를 다하여 국가 건설에 참여함으로써 세계에 내놓아 남부럽지 않은 융성한 나라를 만드는 일에 봉사한다는 국민으로서의 자부심이 없이 어찌 애국애족의 길을 간다고 할 수 있는가. 자꾸만 움추려드는 교육환경 속에서 잊혀져 가는 국민교육헌장을 읽으며 다시 한번 외쳐 본다.

‘민족의 슬기를 모아 줄기찬 노력으로 새 역사를 창조하자.’

월요광장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