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시도민의 오랜 숙원인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이 진통 끝에 겨우 군위·의성지역으로 옮기기로 결정했으나 가덕도 신공항이란 변수를 만나 민간공항으로서 성장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실제로 인천국제공항과 가덕도 신공항과 경쟁을 해야하며 경쟁한다면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지 심각히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군공항과 함께 이전하는 원천적 불리성을 극복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는 부분이 걱정이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은 김해신공항 확장을 전제로 모든 계획이 짜여져 있다. 입지부터 관련 인프라 등 전반적 구상이 부산 가덕도 신공항을 배제한 채 검토돼 왔다. 현재 용역도 그렇게 진행되고 있다. 또 통합신공항은 건설비용이 기부대 양여 방식이어서 재원조달부터 정부가 100% 투자하는 가덕도 신공항과는 다르다. 자체 재원을 조달해야 하는 통합신공항에 대해 시민단체가 특별법 개정을 요구하고 있는 것도 이런 불합리한 부분을 극복하자는 데 의도가 있다.
경북도는 군위·의성지역에 건립될 통합신공항 주변지역을 공항신도시와 항공클러스트 등을 조성할 예정이라 했다. 그러나 가덕도 신공항이 들어서면 기업 유치가 기대만큼 될지 의문이다. 공항신도시 구상 자체를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 통합신공항으로 연결되는 도로와 철도 등도 사람이 줄면 인프라 확장 자체에 지장이 생길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런 상태라면 현재 대구시내에 위치한 대구공항만 못하다는 불만이 제기될 가능성도 있다. 국가 관문공항으로서 정부가 투자한 인천국제공항과 가덕도 신공항이 두 축으로 움직인다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은 동네공항으로 전락할 것이 뻔한 상황이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은 대구시민과 경북도민의 미래 먹거리를 위한 대형 투자사업이다. 인구와 경제가 집중되는 수도권에 대응하고 국제적 항로개설 등을 통해 지역인재에게 제대로 된 일자리를 제공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그러나 사업이 본격 추진도 되기 전에 가덕도 신공항 건설이란 변수에 부딪혔다. 대구시와 경북도 그리고 지역정치인들의 역량이 발휘돼야 할 때다. 어떤 일이 있더라도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이 동네공항으로 전락하는 일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