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를 비롯해 동해안 어업인 단체인 ‘우리바다살리기 중국어선 대책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가 중국어선 북한 수역 조업에 반대하는 결의대회를 열었다.
추진위는 2일 포항수협 활어 위판장에서 김형수 울릉군수협장 등 동해안 어업인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중국어선의 북한 수역 입어반대 결의대회’를 개최하고 본격적인 반대에 나섰다.
추진위는 강원과 경북지역 울릉수협 등 수협 21곳과 어업인 단체 6곳으로 구성돼 있다. 추진위는 최근 동해에서 오징어가 풍년을 맞았지만, 중국어선 1천여 척이 북한수역에서 조업하며 어획량이 급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결의문을 통해 "매년 2천여 척에 달하는 중국어선이 북한의 동해 어장에서 그물을 이용 싹쓸이 조업과 무분별한 남획으로 동해로 남하하는 어자 원까지 씨를 말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자국 어업인과 우리 바다 자원 보호를 위해 중국어선의 북한수역 조업을 막는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추진위는 이번 달 개최될 예정인 한·중 정부 간 어업공동위원회를 통해 남한 어장과 해상주권을 보호하고, 중국어선의 조업 질서를 확립해 달라고 양국 정부에 촉구했다.
특히 "3일 열리는 한중어업협정에서 양국간 실제 입어척수를 현실에 맞게 조정하고 해당 어업인대표가 반드시 동석해야 한다"며 "중국어선의 북한수역 불법조업이 근절될 때까지 전체 어업인들과 총력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추진위는 "불법으로 조업하는 중국어선으로 동해안 수산업이 뿌리째 흔들리고 있고 우리나라 수산자원 관리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며"국제적인 공조를 통해 전 세계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중국어선의 불법 어업에 엄중히 대응하고 단속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올해 북한 수역에 들어간 중국어선은 운반선 합쳐 2천273척, 지난해에는 2천199척, 2017년도 2천 척이 넘는 등 매년 2천여 척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결의대회는 코로나 19 전파 방지를 위해 사전 자가점검실시 체온측정 충분한 거리 준수, 철저한 마스크 착용 등 정부 방역방침을 준수해 진행됐다.
한편, 울릉추진위는 ‘UN 결의안 무시하는 북·중 무역 중단하라’ '중국어선의 실체 알린 GFW(글로벌 어로감시단체)감사합니다‘ '중국어선 몰아내고 한국어선 조업하자’는 현수막을 울릉수협위판장에 내걸고 시위를 하고 있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