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대가 코로나19 시대 온라인 교육 플랫폼 구축을 강화하며 비대면 중심의 교육 패러다임 전환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특히 교육혁신원과 대학혁신지원사업단을 중심으로 교육부의 대학혁신지원 사업을 마중 물 삼아 언택트 비대면 중심의 교육 체질 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구대는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교육 혁신을 위한 온라인 교육 체제 구축을 추진해 왔으며, 지난 2015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서비스에 발맞춰 온라인 교육 플랫폼 구축에 힘을 쏟았다.
2016년과 2020년에 ‘K-MOOC 사업’ 참여대학으로 선정된 대구대는 이 사업을 통해 ‘DU-MOOC’라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매년 강좌들을 개발해 운영하고 있다.
2019년에는 9개의 강좌를 개발했으며, 올해는 10개 강좌 개발을 진행 중이다.
올해 1학기에 2,100명이 넘는 학생이 DU-MOOC 강좌를 수강해 한 강좌당 평균 수강생은 235명에 달했다.
코로나19 발생으로 온라인 교육으로의 전환은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대구대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지원으로 비대면 교육 인프라 확충에 힘쓰고 있다.
지난해 교수학습지원관에 1인용 스튜디오 2실, 조정실 1실, 크로마키 스튜디오 1실 등과 촬영에 필요한 여러 장비를 마련하고 올해에도 맞춤형 스마트 이러닝 시스템 스튜디오(2실)와 단과대학별로 1인 영상 제작 스튜디오(17실)를 구축했다.
이렇게 새롭게 갖춰진 스튜디오와 촬영 장비들은 비대면 수업에 필요한 강의 영상 제작에 적극 활용되며 지난 3월부터 현재까지 스튜디오 이용 건수는 400여 건이 넘었다.
대구대는 학생들의 수업뿐만 아니라 취업 프로그램과 문화 프로그램 운영에도 비대면 방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했다.
진로취업처는 대면 중심의 진로취업 컨설팅을 줌(ZOOM) 솔루션을 활용한 화상 컨설팅으로 전환해 지난해 1,444건의 상담이 이루어졌지만, 올해 이미 4,830건을 상담하고 있다.
26일부터 총 5일간 진행 예정인 진로취업박람회도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김정완 대구대 대학혁신지원사업단장은 “기존의 틀을 과감히 바꾸고 디지털 세대인 대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교육·상담·진로·취업 정보 등이 전달되고 소통하는 데 힘을 쏟았다”면서 “코로나19라는 위기가 교육 혁신의 또 하나의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