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태풍 피해 본 울릉도 특별재난지역 지정될 듯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0-09-10 17:05 게재일 2020-09-09
스크랩버튼
태풍으로 전도된 남양방파제 앞에서 김병수울릉군수로부터 피해설명을 듣는 정세균 국무총리
태풍으로 전도된 남양방파제 앞에서 김병수울릉군수로부터 피해설명을 듣는 정세균 국무총리

제9호 태풍 ‘마이삭’과 제10호 태풍 ‘하이선’의 잇따른 내습으로 개척 이래 최대 피해를 본 울릉도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될 것으로 보인다.

울릉도 태풍피해현장을 둘러보고자 9일 울릉도를 방문한 정세균 국무총리는 “정부가 울릉도를 특별재난지역 지정 검토를 최대한 서둘러 피해복구에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근원적인 항구복구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이날 이철우 경북지사와 김병수 울릉군수에게 “울릉군과 경북도는 신속히 응급복구해 울릉도 주민들이 하루라도 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 해 달라”고 주문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제9호 태풍 마이삭의 최대 피해를 본 울릉(사동)항 방파제현장을 정총리 일행들이 둘러보고 있다.
제9호 태풍 마이삭의 최대 피해를 본 울릉(사동)항 방파제현장을 정총리 일행들이 둘러보고 있다.

울릉도는 제9호 태풍 ‘마이삭’ 강타로 큰 상처를 입고 연이은 제10호 태풍 ‘하이선’이 관통하면서 600억 원 이상의 피해를 당해 울릉도 개척 이래 최대의 피해액을 기록했다.

지금까지 울릉도에 가장 큰 피해를 줬던 태풍은 지난 2003년 9월 내습한 태풍 ‘매미’로 피해액은 354억 원이었다. 지난 3일 울릉도를 강타한 제9호 태풍 마이삭으로 인한 피해는 92%가 공공시설물이다.

주요피해현황은 항만시설이 2건 270억 원, 어항 시설 3건 140억 원, 도로시설 14건 27억 원, 공공시설, 62건 118억 원, 사유시설 136건 45억 원 등 총 217건 600억 원이다.

끊어지 섬일주도로 앞에서 피해 현장을 지켜보는 정세균 총리 일행
끊어지 섬일주도로 앞에서 피해 현장을 지켜보는 정세균 총리 일행

이번 국무총리의 방문은 제9호 태풍 ‘마이삭’의 상처가 아물기도 전 연이은 태풍 ‘하이선’이 울릉도와 독도를 관통, 지난 2003년 9월 내습한 태풍 ‘매미’ 때 입은 피해(354억 원)의 2배에 달하는 600여억 원의 피해로 울릉도가 초토화됐다는 이철우 경북지사와 김병수 군수의 보고에 따라 이뤄졌다.

정 총리는 태풍의 최대 피해를 본 울릉(사동) 항과 남양항을 집중 점검하고 특히 지난해 3월 완전 개통, 지역의 활력을 불어넣던 울릉일주도로가 초토화된 모습을 보고 “안타까운 심정을 금할 길이 없다”고 말했다.

김병수 군수는 태풍으로 붕괴한 울릉(사동) 항 현장 여객선 터미널 옥상에서 열린 피해상황 보고를 통해 큰 피해를 당한 울릉도의 상황을 설명하고 코로나와 연이은 태풍으로 삶의 희망을 잃은 군민이 용기를 내도록 울릉도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줄 것을 건의했다.

정 총리는 피해현장을 둘러본 후 “이번 태풍으로 피해를 본 울릉군 뒤에는 대한민국과 경상북도가 있다”고 위로하고 “우리나라 동해를 굳건히 지키는 아름다운 섬인 울릉도가 태풍으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어 매우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병수울릉군수로부터 피해상황 설명을 듣는 정세균국무총리 일행
김병수울릉군수로부터 피해상황 설명을 듣는 정세균국무총리 일행

이어서 “우리는 상심하거나 좌절해서는 안 되고, 피해를 극복하고 다시 일어서기 위해 한마음 한뜻으로 힘을 모아야한다”며“신속히 응급복구, 울릉도 주민들이 하루라도 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해 달라"고 주문했다.

김병수 군수는 “국토의 최동단 울릉도와 독도가 더 이상 홀로남지 않도록 애정 어린 관심으로 격려해준 정세균 총리, 지사, 장관, 국회의원 등 관계인사분들께 깊이 감사드린다”며“울릉도의 특별재난지역 조기선포가 희망적이고 이에 발맞춰 군민 모두가 하나 돼 태풍피해를 조기에 복구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김 군수는 이번 태풍 때 교통이 완전히 단절된 해안 일주도로의 기능을 보완할 옥천마을~신리마을 구간에 비상도로 1.5km 개설, 울릉군민 해상 이동권 확보를 위한 대책, 노인 여가 복지시설 건립, 2021년 어촌 뉴딜 300사업 2개소(동구미, 학포)선정 등 지역 현안사업의 국가 지원도 건의했다.

/김두한기자 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