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빗나간 일기예보

등록일 2020-08-30 19:48 게재일 2020-08-31 19면
스크랩버튼

나비효과란 본래 기상예측 모델 연구에서 유래한 말이다. 1961년 미국의 기상학자 로렌츠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상변화를 예측하는 과정에서 소수점 이하의 작은 수치가 결과적으로 완전히 다른 기후패턴으로 나타난 것을 두고 이렇게 불렀다고 한다.

과학이 발달하기 전 옛날 사람들은 구름이나 동물의 움직임 혹은 피부로 느껴지는 기온의 변화로 내일의 날씨를 점쳤다. 중국 스찬성 대지진 직전 수십만 마리의 두꺼비가 대이동했다는 것을 두고 지진의 전조로 보는 것 등이 그런 사례다.

우리 속담에 “제비가 낮게 날면 비가 온다”는 말이 있다. 모기나 잠자리 등 곤충들은 습기가 많아지면 날개가 무거워서 낮게 날게 된다. 곤충을 잡아먹는 제비도 자연 낮게 날게 되므로 비올 확률이 높다는 뜻이다. “개구리가 크게 울면 비가 온다”는 속설도 마찬가지다. 공기 중 습도가 많아지면 개구리의 호흡량이 늘어 울음소리가 커진다는 것이다. 사실 여부를 떠나 동물적 본능을 일기와 연관 짓는 것은 흔한 일이다.

신라시대에 이미 천문기상 관측소인 첨성대를 세웠던 것이나 세종대왕이 세계 최초의 측우기를 발명한 것 등으로 보아 일기는 옛날이나 지금이나 국민적 중요 관심사임에 틀림이 없다.

올여름 내내 폭염이 예상된다던 기상청의 예보가 빗나가면서 기상 불신이 심하다. 기상청의 일기예보가 빗나간 사례가 한두 번 아니지만 올 여름 유독 기상청은 고개를 들 면목이 없어 보인다. 여름 내내 폭염이라던 예측과 달리 역대급 장마가 이어지고 수해 발생이 빗나간 일기 탓이란 항의가 연일 이어졌기 때문이다. 또 해외 사이트에서 국내 일기를 확인하는 이른바 기상 망명족까지 늘어났다고 하니 기상청의 체면이 말이 아닌 셈이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