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창궐을 하는 마당에도 미국인들은 마스크 쓰기를 거부한다. 왜 미국 사람들은 마스크 착용에 이런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일부 언론에서는 이에 대해 미국이 가진 문화의 특성으로 해석했다.
미국은 집회나 시위에 복면을 착용해 신원 확인을 어렵게 하는 것을 금지하는 복면금지법이 시행되는 나라다. 우리도 과격시위와 관련 몇 차례 복면금지법이 국회에서 발의 됐으나 표현의 자유와 인권침해 논란으로 법제화 되는데 실패했다.
미국에서는 남의 땅에 별 생각없이 마스크 차림으로 들어갔다가 강도로 오인받아 총격사고가 벌어진 일이 종종 있다. 지난 5월에는 미시간주 한 상점의 경비원이 고객에게 마스크 착용을 요청하다 총에 맞아 숨지는 사고가 있었다.
미국 사람들은 눈 맞춤이나 얼굴 표정을 중시하는 사회적 관념이 있어 마스크 착용은 개인의 자유를 통제하는 것으로 받아들인다고 한다.
마스크의 역사는 오래됐다. 그리스, 로마시대에 이미 마스크를 쓴 기록이 있다. 14세기에는 유럽 전역에 번진 흑사병에 대응키 위해 새부리 같은 기괴한 마스크를 의사들이 사용한 적도 있다. 1918년 미국 시카코에서 시작해 전 세계에 퍼진 스페인 독감 때도 마스크가 가장 훌륭한 대응 수단으로 동원됐다.
코로나19가 또다시 대유행 조짐이다. 학수고대하는 백신 개발은 기약이 없다. 지금 상태에선 마스크가 곧 백신이다. 외신들은 한국의 파주 스타벅스점에서 다수의 확진자가 나왔음에도 마스크를 착용하고 일했던 직원들은 감염을 면했다는 사실을 보도하며 마스크 착용의 유용성을 부각했다. 의료계는 코로나 백신이 개발된 데도 100%의 보장은 어렵다고 한다. 마스크 위력에 감사해야겠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