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21일 울릉도 라페루즈 리조트에서 세계적인 식재료인 울릉도 슬로푸드 식재를 주제로 ‘맛의 방주, 울릉도·독도의 맛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음식시학(대표 이종주) 주관으로 진행되는 이날 심포지엄은 울릉도의 대표 토속 음식들을 살펴보고, 음식을 통한 울릉도의 맛과 멋의 가치 구현과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다.
심포지엄의 주요내용은 강제윤 섬 연구소장이 ‘울릉의 속살, 울릉의 맛과 멋의 가치와 활용’, 천진기 전국립전주박물관장이 ‘울릉의 전통음식과 민속문화’, 프리랜서 김하영 씨가 ‘세계 음식문화유산 마케팅 사례’, 윤제운 대구대 교수가 ‘동해바다의 역사와 맛’을 주제로 각각 발표한다.
강제윤 소장은 “울릉도의 대표 토속 음식들의 단순한 원형의 맛이야말로 울릉도 음식의 미래가 있다.”며, “원형의 맛을 살릴 때 비로소 울릉도 음식도 경쟁력이 있다.”고 말했다.
22일 오전 10시에는 라페루즈 리조트 앞에서 ‘될 수 있다. 요리사’의 저자 박찬일 세프가 부지깽이 나물을 이용한 퓨전식 샐러드, 오징어 등 울릉도 특산물을 활용한 요리 시연도 함께 펼친다.
김남일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울릉도·독도의 청정 바다에서 생산되는 해산물과 산과 들에서 자라는 울릉도의 훌륭한 원재료를 사용한 음식을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에게 더 오랫동안 공급할 것인가에 대해 관련 전문가들과 깊이 논의하는 자리다”고 말했다.
경북도와 울릉군은 오늘의 심포지엄을 계기로 울릉도의 맛과 산품을 산업화하고 국제화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앞으로 이들 산업에 지속적인 지원과 아이디어 발굴에 매진할 계획이다.
슬로푸드 코리아의 ‘맛의 방주’에 등재된 것은 현재 103개인데, 이중 울릉도의 산물은 칡소, 섬말나리, 옥수수엿청주, 울릉홍감자, 긴잎돌김, 손꽁치, 그리고 지난 4월 등재된 물엉겅퀴까지 7종이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