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봄은 왔건만

등록일 2020-04-15 20:16 게재일 2020-04-16 17면
스크랩버튼
윤영대 수필가

춘삼월도 지나고 목련 꽃이 아름답게 피는 4월, 완연한 봄이다. 벌써 일찍 만개한 창포동 뒷산의 진달래는 꽃잎을 접어가고, 효자 영일대, 환호공원 등 시내 곳곳의 벚꽃길에는 꽃비가 내리고 있다. 그런데 우리의 마음은 지나는 봄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우한 폐렴-코로나19의 검은 구름이 몰려온 탓이다. 그야말로 여태껏 경험해 보지 못한 세상의 가운데에 있는 느낌이다. 국내 확진자가 1만 명을 넘고 감염예방수칙도 강화됐다.

늘 손에 쥐고 있는 휴대폰이 딸꾹거릴 때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알림이 온다. 감염예방을 위해 저녁 시간 밀폐된 장소에 가지 않고 집으로 바로 오기, 행사와 모임 자제하기, 손씻기와 기침 예절 준수하기 등 창살 없는 감옥이리라. 국민이 지켜야 할 사항들이 긴 겨울 동안 따뜻한 봄날을 기다렸던 마음에 어두운 장막을 치게 한다.

감염확산을 줄이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조한다. 거리 2m는 코로나 세균의 비말이 미치지 않는 간격이고 거리두기라는 의미는 사람 간 접촉을 줄인다는 뜻이다. 그런데 여기서 ‘사회적 거리’의 의미를 한 번 더 되씹어 보면 씁쓸하게 들리기도 한다. 사회적이라는 말 속에는 사람과 사람 간의 상호역할을 하는 관계, 감정 등의 의미가 있으리라. 이 보이지 않는 거리를 멀리하라고 하니 무관심 아니면 적대적 관계로 오해될 수 있겠다. 오히려 ‘물리적 거리’라는 말이 맞지 않을까? 어쨌든 이 코로나 사태를 이겨내기 위해서 인간적 거리는 배려와 양심적 행동을 통해 더 따뜻하게 가까워져야 하리라.

치료와 점검, 방역활동 등을 위해 전국에서 스스로 참여하는 의료인들과 소방대원들의 봉사 정신, 그리고 자가격리, 거리 두기 등 방역수칙을 묵묵히 따라주는 국민의 공동체 의식 수준이 바로 이 코로나 사태 극복의 힘이 될 것이라 본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그 모양이 태양 표면의 불꽃, 즉 홍염(corona)을 닮아 붙인 이름 같은데 그 타오르는 열기를 이제 모두의 정신적 차분함으로 이겨나가야 한다.

아직 개학이 불투명한 학교 교정은 노랗게 피어나던 개나리의 합창 속에 재잘대던 아이들의 웃음소리도 들리지 않고 각종 문화시설과 노인학교들이 문을 닫는 바람에 노년의 즐거운 일상도 낙을 잃었다.

시골 장날이 열리지 않으니 봄나물, 채소들도 밭에서 시들어 버렸고, 재래시장과 소규모 식당들이 개점휴업 상태라 바다에서 건져 올린 생선들도 그 맛을 잃어간다. 졸업식 입학식을 못하게 됐고 결혼식도 축제도 취소되곤 하였으니 아름다운 꽃들도 겨울 내내 가꾸어왔던 향기를 전할 일이 드물다. 사람의 만남과 자연과의 교감이 없으니 허전한 계절이 되어버렸다. 그래서 사람은 만나야 하고 얼굴을 맞대야 한다는 사실이 새삼스럽다. 사회적 격리로 이제 가족과는 더 밀착된 시간이 많아져서 그동안 잊고 있었을지도 모르는 가족의 의미를 되찾고 근심 걱정 속에서도 믿음과 사랑이 깊어질 수 있지 않을까. 매일 TV와 휴대폰을 들여다보는 시간이 많아지니 눈도 피로하지만, 다행히 SNS의 세계에서 얘기를 나눌 수 있어 다행이다.

답답한 마음에 바닷가를 거닐다 보면 푸른 바다를 날아다니는 갈매기 날갯짓에 몸은 가벼워지고, 산골에 있는 친구 만나러 계곡을 따라가다 보면 정겨운 새소리가 마음을 맑게 한다. 시외의 벚꽃 터널을 자동차를 타고 그야말로 ‘드라이브 스루’로 훑고 지나가며 서로 격리된 모습을 느끼기도 하고, 마스크를 낀 채 시내 철길공원 숲을 거닐어 보면 서로 부딪치지 않으려고 멀찌감치 피하여 지나가지만 그래도 눈빛으로 얘기하는 사람들의 온기가 좋다. 인간은 서로 보고 웃으며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존재라는 것이 고맙다.

이제 식목일도 지났다. 산과 들, 마을과 집 안뜰에서 숲의 맑은 숨결을 바라며 나무를 심던 즐거움도 빼앗겼다. 그러나 이제는 우리들 각자의 마음에 생명의 꽃나무를 심고 몸가짐을 바르게 하여 국경 없이 넘나들고 있는 바이러스가 더 이상 뿌리를 내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코로나에 빼앗긴 마음의 들에도 봄은 오리라. 춘래불사춘-봄이 와도 봄 같지 않은 이번 봄은 우리 인간들에게 또 많은 가르침을 준다. 입으로는 어렵더라도 눈빛으로 서로의 마음을 전하자. “우리는 이겨낼 수 있다.”고….

Essay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