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의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은 후보 신청자 531명을 분석한 결과, 20∼30대가 49명으로 9.2%를 차지한다고 11일 밝혔다.
미래한국당 공병호 공천관리위원장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20대 지원자가 9명, 30대 지원자가 40명”이라며 “20∼30대 정치 지망생이 우리 예상보다 훨씬 많다”고 밝혔다.
그는 “20∼30대에서 기존 정치 질서에 대한 변화 요구가 많다는 것, 또 일부 여론조사에 나타난 것과 달리 자유 우파 진영에 대한 기대감과 희망을 가진 젊은 층이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미래한국당은 이들 중 일부에게 비례대표 우선순위를 주겠다는 방침이다.
미래한국당은 이날 중 서류심사를 마치고 12일 20∼30대를 시작으로 면접심사에 착수한다. 20∼30대 비례대표 후보에게 요구할 자질로는 ‘전문성’과 ‘전투력’을 꼽았다.
미래한국당은 통합당의 ‘영입인재’명단은 넘겨받았지만, 이들에게 ‘특별대우’는 해줄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공 위원장은 “(한선교 대표가) ‘영입인재 리스트이니 의사 결정할 때 참조하라’고 건네줬다”며 “배려할 생각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또 박근혜 전 대통령의 최측근인 유영하 변호사나 통합당 공천에서 탈락한 김재철 전 MBC 사장(경남 사천·남해·하동), 김은희 테니스 코치(경기 고양갑) 등에 대해서도 공천 배제나 부적격 원칙을 일관되게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미래한국당은 △불출마를 선언한 국회의원 △비례대표 국회의원을 한 번이라도 역임한 인사 △ 타 정당 공천 신청자 및 탈락자 △정치 철새, 계파 정치 주동자 △국민통합을 저해하는 국론분열 인사 △위선 좌파 및 미투 가해자 등을 공천 배제 기준으로 발표한 바 있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