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회원로들, 文대통령에 ‘통합 리더십’ 주문

김진호기자
등록일 2019-05-02 20:17 게재일 2019-05-03 2면
스크랩버튼
패스트트랙 과정 여야 극한 대치<br/>당 해체 요구 국민 청원 <br/>진영 대결로 번지는 상황<br/>“탕평·통합 시급” 한목소리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청와대에서 열린 사회원로 초청 오찬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국정 운영에 필요한 조언을 얻고자 사회 원로들을 초청한 자리에서 가장 많이 받은 주문은 ‘통합’이었다.

국회의 선거제·개혁법안 패스트트랙 지정 과정에서 여야가 극한 대치를 보이고 여당과 제1야당의 해산을 요구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진영 대결 양상으로 번지는 상황에서 이를 해결하는 리더십을 보여달라는 주문이었다.

노무현 정부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낸 김우식 창의공학연구원 이사장은 2일 청와대에서 열린 문 대통령과 사회원로 간 오찬간담회에서 “한 계파의 대통령이 아니라 모두의 대통령이 돼야 한다”면서 “탕평과 통합을 비롯해 널리 인재를 등용하는 모습을 보여달라”고 말했다. 김명자 전 환경부 장관도 “요즘 뉴스를 보지 않고, 정치에 혐오를 느끼는 분이 많은데 이는 국가적 불행”이라며 “모든 이슈에서 진보와 보수 두 갈래로 갈라져서는 문제 해결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 전 장관은 또 “어떻게 분열에서 통합으로 이끌지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며 “결국 우리 모두가 바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때 ‘안철수의 멘토’로 불렸다가 2012년 대선에서 문 대통령을 지지하기도 했던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은 “민주당은 여당이 된 지 2년이 지나서도 야당처럼 보이는데, 융통성을 보여야 한다”면서 “이런 국면에서는 대통령이 나서지 않으면 문제를 풀기가 힘드니 대통령이 직접 정국을 풀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 전 장관은 또 “6개월이 지나면 임기가 반환점을 도는데 시기적으로 성과를 내야할 때”라면서 “국회가 극한대결로 가고 야당이 극렬하게 저항하면 대통령이 추진하려는 것이 순조롭게 되지 않는다”고 내다봤다.

일부 원로들은 필요하다면 정책 변화도 고려할 것을 제안했다. 김 이사장은 “정부에서 ‘탈원전’이라는 명칭보다 ‘에너지 믹스’, ‘단계적 에너지 전환’이라고 말했어야 하지 않았을까 싶다”면서 “우리의 우수한 기술 경쟁력을 살리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밝혔다.

송호근 포항공대 석좌교수는 “정권이 반환점을 도는데 정책 기조 전환이 필요하다”면서 “기존 2년의 평가가 성공했어도, 실패했어도 새로운 것을 보고 싶어하는 국민의 요구가 있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송 교수는 이어 “정책 기조를 유지하더라도 ‘고용주도성장’으로 바꾸는 등의 변화는 어떤가”라고 제안하면서 “주휴수당만이라도 고용부에서 피고용자에게 주면 고용증대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회 구성원 전체의 분발을 당부하는 쓴소리도 이어졌다. 신고리원전공론화위 위원장을 지낸 김지형 규제개혁위원회 민간위원장은 “우리는 사회적 논의의 중요성을 많이 이야기해도 사회적 논의의 참여 주체들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참여 자체를 거부하는 것이 기본적인 사회적 논의의 참여 파트너로서 책임을 다하는 것인지 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민주노총의 불참 등으로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파행이 거듭되는 상황 등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