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내년 총선 겨냥 정계개편 회오리 부나

김진호기자
등록일 2019-04-07 20:35 게재일 2019-04-08 3면
스크랩버튼
바른미래당 내홍 틈타 수면 위로
한국당 ‘보수 빅텐트론’ 주창
바른·평화 호남의원 ‘제3지대론’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가 지난 5일 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4·3 보궐선거가 끝나자 내년 21대 총선을 겨냥한 야당발 정계개편론이 정치권의 최대 화두가 되고 있다.

자유한국당이 바른미래당 보수성향 의원들과 대한애국당을 끌어안는 ‘보수통합론’과 과거 국민의당에 뿌리를 둔 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 의원들이 연대 혹은 통합하는‘제3지대론’ 등이 우후죽순격으로 터져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4·3 보궐선거 참패로 바른미래당의 내부분열이 본격화하면서 이 같은 논의에 탄력이 붙는 모양새다.

이미 바른정당 출신인 하태경·이준석·권은희 최고위원은 보선 패배에 대한 손학규 대표의 책임을 거론하며 조기 전당대회 개최, 비상대책위원회 전환 등을 요구한 상태다. 이에 대해 국민의당 출신 인사들은 크게 반발했다. 이찬열 의원은 아예 “깨끗하게 갈라서자”는 말까지 내뱉었다.

여기에다 손 대표를 “찌질하다”고 비판한 이언주 의원에 대해 당원권 1년 정지 징계 처분이 내려지면서 갈등은 돌이킬 수 없이 깊어지고 있다. 바른정당 출신 인사들은 이번 징계에 반발했다. 이 의원이 국민의당 출신이지만 그동안 ‘우클릭’행보를 해왔고, 손 대표를 비판해왔다는 점에서 바른정당 인사들과 일정한 교감이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경남 창원성산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504표로 석패한 한국당은 ‘바른미래당과 대한애국당의 표를 흡수했으면 한국당이 승리할 수 있었다’는 분석 아래 보수통합론, 이른바 ‘빅텐트론’을 주창하고 있다. 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지난 4일 기자간담회에서 “헌법 가치를 같이 하는 모든 정치 세력이 함께하는 통합을 꿈꾸고 있다”며 “우리가 단단하게 다져지면 우선 외연이 넓혀질 것이고, 그런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더 큰 통합을 하나씩 이뤄갈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나경원 원내대표도 지난 6일 유튜브 채널 ‘신의한수’에 출연해 “이번 선거에서 우파를 통합해야만 다음 선거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교훈을 얻었다”며 “보수대통합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헌법 가치를 존중한다면 누구에게나 문호를 여는 것으로, 당은 많은 분을 품을 큰 저장고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당의 ‘보수대통합’공론화는 원심력이 커져가는 바른미래당을 겨냥한 포석으로 읽힌다. 바른미래당은 4·3 보선 참패 후폭풍에 더해 선거제·개혁법안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을 놓고 심각한 내홍상태다. 당장 보수성향 의원들은 패스트트랙에 반대하고 있다. 당의 이념·정체성 갈등을 반복해온 바른미래당이 패스트트랙 결정 과정에서 쪼개질 가능성도 있다.

바른미래당과 평화당 소속 호남 의원들 간의 정계개편론 논의도 솔솔 흘러나오고 있다. 바른미래당과 평화당 간판으로는 내년 총선에서 살아남기 어렵다는 위기감이 이같은 논의의 뿌리가 되고 있는 데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제1야당인 한국당 어느 쪽도 선택할 수 없는 처지의 호남 의원들이 새로운 정치 세력을 만들어 활로를 모색하자는, 이른바 ‘제3지대론’을 내세우고 있다. 특히 지난 2016년 20대 총선에서 창당 4개월 만에 38석이라는 성과를 낸 국민의당 출신 의원들 사이에서 이같은 제3지대론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분위기는 평화당 최경환 의원이 지난단 30일 당 개편대회에서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고 변화에 앞장서서 건강한 제3지대를 만들어 내야 한다”고 언급한 것을 계기로 급물살을 타고 있다. 실제로 최근 평화당과 정의당의 공동교섭단체 재구성 논의가 난항을 겪는 데에는 제3지대론에 기대하는 심리가 깔려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