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와 협상에 힘 실려" VS "구체성 없이 원론적 수준"
‘대구공항통합이전과 관련한 정부의 속내는 무엇인가’
최근 대구통합공항 이전 사업과 관련해 국방부와 이견이 좁혀지고 있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대구를 방문해 “잘 해결될 수 있도록 살펴나가겠다”고 밝혀 대구통합공항 이전 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지난 19일 이낙연 총리가 국회 대정부질문 답변에서 국토교통부가 추진 중인 김해공항 확장안에 대해 “국토교통부와 부·울·경(PK) 검증단 사이에서 조정되지 않고 끝내 표류하게 된다면 총리실에서 나서서 조정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 것과 결이 달라 이날 문 대통령의 발언은 원론적 입장만 거론한 것라는 해석이 강하다.
이재하 대구상공회의소 회장은 이날 “통합신공항은 대구경북민 550만명의 숙원사업인데 현재 지체되고 있다”고 전제하고 대구통합공항 이전 사업에 대한 답변을 강하게 요청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공항이전 문제에 대해 잘 알고 있다. 빠른 시간 내 잘 해결될 수 있도록 살펴나가겠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이 통합공항 이전에 대해 직접 발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나 구체적이고 명확한 답변을 기대했던 지역에서는 원론적인 답변에 그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지역에서는 지난달 13일 부산지역을 방문해 “(동남권 신공항과 관련) 부산·김해시민이 문제를 제기하는 내용을 잘 알고 있다. (부산·울산·경남의) 검증 결과를 놓고 5개 광역자치단체의 뜻이 하나로 모인다면 결정이 수월해질 것이고, 만약에 생각이 다르다면 부득이 총리실 산하로 승격해서 검증논의를 결정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구체적으로 답변을 한 대신, 대구에서는 대구통합공항 이전 문제에 대해 원론적인 수준의 발언에 그쳤다며 내년 총선을 의식한 발언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대구시 등은 최근 국방부에서 전향적으로 대구통합공항 이전사업에 대해 의지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문 대통령의 발언으로 더욱 속도를 낼 것이라며 기대감을 부풀리고 있다. /이곤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