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추경호 의원<br/>수자원공사 제출 자료 분석<br/>낙동강권역 순손실액<br/> 222억원으로 가장 커
자유한국당 추경호(대구 달성군·사진) 의원이 문재인 정부 출범 후 4대강 보 수문을 열고 진행한 모니터링 작업만으로 지금까지 330억원의 손실을 봤다고 주장했다.
21일 추 의원이 한국수자원공사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 출범이후 진행 된 4대강 보 수문 개방 모니터링으로 발생한 소수력발전소의 발전 매출 순손실액(손실분 합계)은 약 330억원에 달한다.
이는 수자원공사가 지난 2013∼2016년 전력판매 평균금액과 지난 2017년 6월∼2018년 12월 중 전력판매 실적을 비교해 손실액을 산출한 자료다.
8개 보가 설치된 낙동강 권역의 순손실액이 222억원으로 가장 컸고, 4대강 조사·평가 기획위원회가 보 해체 등을 제안한 금강과 영산강 권역은 각각 78억원과 27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추경호 의원은 “3차례에 걸친 감사원 감사 결과에도 문재인 대통령 말 한마디에 추진된 보 수문 개방 및 모니터링 실시로 엄청난 양의 수자원이 뚜렷한 과학적 근거도 없이 바다로 버려졌다”면서 “실제로 가뭄이 심했던 지난 2016년과 수문개방 모니터링이 진행된 지난 2018년을 비교하더라도 250억원의 순손실이 발생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농번기 물 부족 사태를 우려하는 농민들의 걱정과 한탄이 말 못 할 지경”이라며 “4대강 조사·평가기획위원회 내부적으로도 공정성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