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경북 상생발전, 가시적 성과 도출해야

등록일 2019-01-02 19:18 게재일 2019-01-03 19면
스크랩버튼
지난해 통합공무원교육원 설립 합의로 민선 7기 한뿌리 상생협력의 첫 단추를 끼운 대구와 경북이 문화관광 분야를 필두로 범위를 넓혀가며 속도를 높여가고 있다. 특히 대구시와 경북도가 문화체육국장과 경제파트 과장 등 2명을 맞교환해 근무하기로 하는 등 어느 때보다도 긴밀한 협치 행정을 도모하고 있다. 올해는 좀 더 구체적인 계획 수립을 통해 상생발전의 폭을 넓혀가면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도출해내기를 기대한다.

올해 양 시도가 우선적으로 시도하고 있는 사업은 관광 분야다. 구체적으로 5개의 상생관광 공동사업목표를 정하고, 차질없이 추진한다는 방향을 설정했다. 5개 공동사업은 ‘2020년 대구·경북관광의 해 공동추진’, ‘2019년 대구·경북관광 특별전’, ‘대구·경북 연계 관광 네트워크 기반 구축’, ‘대구·경북관광 스타트업 육성사업 추진’, ‘대구·경북 관광 모바일 패스권 개발 및 운영’ 등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최근 상생관광 공동사업 추진을 위해 ‘상생관광기금’ 조성에도 합의했다. 대구시는 내년부터 매년 40억 원씩 10년간 400억 원을 조성한다는 목표를 세웠고, 경북도도 도내 23개 시·군과 함께 10년간 1천억 원의 기금을 마련할 계획이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함께 모은 상생관광기금은 5개의 대구·경북 상생관광 공동사업을 펼치는 데 사용하기로 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지난 지방선거에 나서면서 내놓은 ‘대구·경북통합안’을 다시 돌아보게 된다. 이철우식 대구·경북통합안은 ‘경북에 거대도시를 2개 조성해 대구와 연결한다’는 것이 뼈대다. 경북에 인구 100만 명의 대도시 두 곳을 건설해 메트로폴리스인 대구와 광역전철망으로 연결해 광역경제권으로 묶어 대구·경북의 공동번영을 꾀하자는 것이다. 그리고 ‘대구포(대구~구미~포항)’ 벨트 안에 지정된 경제자유구역을 활용, 일자리를 늘린다는 구상이다.

지난 2014년에 창립된 ‘대구·경북 한뿌리상생위원회’의 역할이 더욱 소중해졌다. 민선 7기 출범 이후 위상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에 따라 위원장을 기존 행정부시장·부지사에서 시·도지사로 격상한 바 있다. 당면 현안인 대구공항 통합 이전과 취수원 이전, 경제협력 등 일부 미흡한 현안부터 끈질기게 협의하여 답을 찾아내야 한다.

무엇보다도 경제 분야에서 상생시스템을 만들어내는 일이 중요하다. 국내외 경제 상황을 감안할 때, 대구·경북 시도지사가 합의한 경제통합추진위, 대경권 광역경제발전위 등 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이 쉽고 상생효과가 큰 사업의 공동추진이 긴요하다. ‘먹고 사는’ 문제에 있어서 성과를 내야만 비로소 궁극적인 목적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구·경북 상생발전의 감동적인 시너지효과가 하루빨리 도출되길 기대한다.

발언대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