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BR>기능·기계조작·조립·단순노무자 급감
지난달 조선업 구조조정 등 산업적 요인에 강추위 등 기상 이변까지 겹치면서 서민이 대다수인 현장직 일자리가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대다수가 현장직인 기능·기계조작·조립·단순노무 종사자 수는 868만5천 명으로 1년 전(883만8천 명)보다 15만3천 명 줄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3년 1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기능·기계조작·조립·단순노무 종사자는 지난해 2월 7만8천 명 늘어나며 증가세로 전환한 이후 12개월 연속 평균 6만 명 내외의 증가 폭을 유지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증가폭이 1만9천 명 수준에 그친 데 이어 지난달 큰 폭의 감소세로 돌아섰다.
세부적으로 보면 `기능원 및 관련 기능종사자`는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최대 폭인 10만1천 명 줄어들며 감소세를 주도했다.
일용직이 대다수인 `단순노무 종사자`는 2만9천 명 줄어 2016년 5월 5만4천 명 줄어든 이후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도 2만4천 명 줄어들면서 4개월만에 다시 감소세로 전환했다.
취업자 감소세가 주로 현장직에 집중된 것은 최근 심화하고 있는 조선업 구조조정 영향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취업자 수 감소세가 두드러졌던 `기능원 및 관련 기능종사자`, `장치·기계조작및 조립 종사자` 등은 대부분 조선업이 포함된 제조업 취업자들이다. 실제로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수는 조선업 등 기타 운송장비 업종을 중심으로 줄면서 증가 폭이 전달(10만6천 명)보다 9만2천 명 급감한 1만4천 명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