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11개월만에 최대폭
생산자물가는 국내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보여주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준다.
생산자물가는 지난 7월 0.1% 오른 데 이어 두 달 연속 상승했다.
특히 농산물 가격이 뜀박질했다.
지난달 농림수산품은 4.5% 올랐고 이 가운데 농산물은 14.2%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농산물 상승률은 2010년 9월(18.8%) 이후 6년 11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구체적으로는 피망이 한 달 사이 190.9% 올랐고 토마토는 102.1%, 배추는 55.3%급등했다.
권처윤 한국은행 물가통계팀장은 “농산물가격이 오른 요인은 기후”라며 “8월에 폭염이 심했고 비가 많이 왔기 때문에 출하량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농산물 생산자물가를 지난 6월과 비교하면 23.7% 높아졌다.
농산물 가격이 뛰면 소비자뿐 아니라 식당을 운영하는 자영업자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농산물과 달리 축산물 가격은 지난달 2.5% 내렸다.
닭고기가 12.9%, 달걀이 13.9% 각각 떨어졌다.
수산물은 1.8% 떨어졌다.
게(-31.0%), 냉동꽃게(-19.5%), 물오징어(-5.7%)의 하락 폭이 컸다.
공산품은 전월 대비 0.3% 올랐다.
석탄 및 석유제품은 국제유가 상승에 맞춰 3.2% 올랐고 제1차금속제품도 0.6% 상승했다.
반면, 음식료품은 0.1% 떨어졌고 전기 및 전자기기는 0.3% 내렸다.
서비스 부문 생산자물가는 7월과 같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