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 1층·지상 4층 건립<bR>3차원 수조 등 장비 설치<bR>2019년까지 813억 투입<bR>국내수중로봇시장 규모<bR>2019년엔 800억원 예상
총 사업비 800억원이 투입되는 `수중로봇복합실증센터`가 개소했다.
경북도는 지난 16일 포항 영일만제3일반산업단지 내에서 김관용 경북도지사, 이강덕 포항시장, 박명재·김정재 국회의원 등 내빈들이 참석한 가운데 수중로봇복합실증센터 개소식을 가졌다.
수중로봇복합실증센터 구축사업은 해양수산부 예타사업으로 지난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총사업비 813억으로 추진 중인 `수중건설로봇 기술 개발사업`의 일환이다.
지방비 170억을 투입해 연구개발사업으로 개발된 3종 수중건설로봇의 성능 검증을 위해 시험설비, 수조, 연구지원시설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해양수산부, 경북도, 포항시가 공동지원하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건설로봇사업단이 주관한다.
이날 행사에는 그동안의 연구로 개발된 3종 수중건설로봇 중 해저의 지형조사나 해양 구조물의 볼트·너트 체결 등의 경작업을 할 수 있는 무인잠수로봇을 시연, 참석자들로 하여금 놀라움을 자아내게 했다.
이번에 개소한 수중로봇복합실증센터는 지난 2015년 8월에 착공해 올해 1월에 준공됐으며 지하 1층~지상 4층, 연면적 4천399㎡ 규모다. 시험설비로 3차원 수조와 회류수조, 조류발생장치, 30t 규모 호이스트 등 13종의 장비가 설치됐다. 2020년 기준 세계 해양플랜트 시장 규모는 1천억 달러로 무인잠수정 등 수중 장비수요가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국내의 경우 수중로봇 제조시장은 2011년 기준 20억원, 2019년 800억원으로 예상되며, 해상풍력단지, 해양플랜트 등 바다 속 토목공사가 증가할 전망이어서 향후 해저탐사·시추·설치·검사·유지보수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다양한 수중건설로봇을 현장에 투입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관련기술이나 장비를 수입하거나 임차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북도는 향후 2021년까지 수중건설장비 기술 수준이 선진국 대비 90% 확보될 것으로 전망하고, 현재 100% 해외에서 임대해 사용 중인 것을 50% 이상 자립화해 5년간 해외 임대비용 약 2천여억 원이 절감될 것으로 보고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미래 먹거리의 보물창고인 해양은 우리가 개척해야 할 최대의 시장이다”면서 “수중건설로봇 기술을 하루빨리 개발해 독자적 기술 확보에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이창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