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 재선충 피해 감소 `놀랍네`

전준혁기자
등록일 2017-06-15 02:01 게재일 2017-06-15 1면
스크랩버튼
최근 1년간 고사목 감소, 경북 전체와 맞먹어<BR>1급 극심지역 오명 벗고 효율 행정 본보기로

포항 지역의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추세라면 포항은 `1급 극심지역`이라는 오명을 벗어던짐은 물론, 피해목 1만그루 이하의 통제 가능 수치 달성도 불가능한 것만은 아니라는 낙관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포항 지역은 전국적으로 소나무재선충병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2014년부터 현재까지 해마다 국내에서 발생한 소나무재선충병피해의 약 11~13%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감소 추세는 국내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에 있어 중요한 사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기대가 모이고 있다.

경북지역만을 두고 보면 포항의 감소추세는 더욱 눈에 띈다.

올해(지난 2016년 5월부터 2017년 4월까지) 10만6천여그루의 피해 고사목이 발생한 포항은 지난해 같은 기간 16만5천여그루와 비교하면 6만그루 가까이 줄어들었으며, 이는 경북의 총 감소량 7만여그루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즉, 포항시는 경북에서 올해 들어 지난해보다 오히려 피해가 200% 넘게 증가한 청도군이나 성주군, 지난 2016년 5월 이후 신규로 발생한 문경시 및 영양군과는 달리 2014년 이후 꾸준하게 피해가 감소하며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우수지자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대해 포항시는 최근 2년간 소구역 모두베기를 진행해 해당 구역 재발생률을 4%대로 낮춘 점과 재선충병 확산의 근원을 차단하고자 예방나무주사를 확대 시행했던 것이 큰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한 산림 분야 퇴직공무원을 활용해 특임관을 선임하고, 2014년도부터 재선충병 관련 부서의 인사이동을 제한해 전문가를 양성한 점도 효율적인 행정추진 사례로 꼽고 있다.

방제정책과 관련해서도 피해수습 단계에서 예방 단계로 진입하고 있는 포항시 상황은 향후 전망을 더욱 밝게 해주고 있다. 고사목 한그루를 처리하는 비용이 7만원 내외인 반면, 2년 동안 효과가 유지되는 예방나무주사는 1천500원 수준으로 그 경제적 부담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

포항시 금창석 재선충병방제T/F팀장은 “오는 29일 열리는 산림청 전국 우수사례 발표에 포항시가 6개 시군 중 한 곳으로 선정됐다”며 “예방나무주사를 앞으로 계속 늘려나가 지금과 같은 추세를 유지한다면 2년 정도 뒤에는 극심지역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전준혁기자 jhjeon@kbmaeil.com

포항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