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에 지진센터 유치 `가물가물`

박동혁기자
등록일 2017-06-09 02:01 게재일 2017-06-09 1면
스크랩버튼
새 정부 출범 초기 어수선<br>연구인력·입지 등 강점에도<br>유치위 출범 후 진전 없어<br>경북도 유사사업 추진까지<br>동해안에 지질방재硏 설립<br>용역 착수해 국비확보 시동<br>포항엔 중복사업 부담 작용

지난해 발생한 9·12 지진 이후 포항, 경주 등 동남권에서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지진에 대비하기 위해 포항시가 추진해온 동남권 지진·단층융합연구센터 유치가 지지부진한 것으로 확인됐다.

더욱이 문재인 대통령이 새 정부 출범 이후 청와대와 내각 인선에 힘을 쏟느라 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다소간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경북도에서도 비슷한 성격을 지닌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을 추진하면서 정책 중복에 대한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9·12 지진 이후 600차례가 넘는 지진이 발생하면서 더이상 한국이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불안감이 확산됨에 따라 철저한 대비를 위해서는 빠른 시일 내에 어떠한 형태로든 연구소를 설립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신되고 있다.

포항시는 지난 2월 22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동남권 지진·단층융합연구센터 유치위원회를 발족시키고 센터 유치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대학교수와 언론인, 전문가 등 11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지진연구센터 유치 때까지 한시적으로 동남권 지진전문 연구기관 유치에 대한 전략방안을 모색하고 포항시 지진재난 방재 자문 등에 관한 직무를 수행하기로 했다.

시는 앞서 지난 1월 9일에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대전 본원을 방문해 지진연구센터 포항 신설을 강력히 건의했다.

시에 따르면 포항은 지리적으로 울진원전, 월성원전의 중간지점에 위치해 지진발생 시 예상 피해가 타 지역에 비해 크기 때문에 연구를 통한 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반면 4세대 방사광가속기, 나노융합기술원 등 최첨단 국가연구시설이 집적해 있어 우수한 R&D인프라를 지진연구센터에 즉각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산하 포항지질자원연구실증센터가 지난해 3월부터 포항에 입주해 있어 지질전문연구기관 유치에 최적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처럼 포항에 동남권 지진·단층융합연구센터 유치가 절실한 상황이지만 유치위원회 발족 이후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어 자칫 흐지부지 없던 일이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

지난 4월 경북도가 동해안에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을 위해 타당성 연구용역에 착수하면서 상황은 더욱 복잡해졌다. 경북도는 지진빈도가 가장 높고 원전이 집적된 경북 동해안에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을 위한 국비확보에 나설 방침이다.

만약 경북도가 연구소 설립을 마무리지을 경우 하급기관인 포항시가 중앙부처에 별도의 연구소 유치를 주장하기에는 유사·중복 우려 등으로 한계에 부딪힐 가능성이 높다.

포항의 한 학계 전문가는 “경주, 포항 등 동남권에 지진 이슈가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 속에서 어떤 형태로든 연구소 유치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경북도와 포항시가 각자 연구소 유치를 주장하고 있는 만큼 대화를 통해 기관 간 협조를 이끌어낸다면 좋은 결론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포항시 관계자는 “현재 새 정부 인선이 진행 중이라 중앙부처에 건의하기가 여의치 않은 형편에서 경북도에서도 비슷한 연구소를 준비 중이어서 별도로 센터 유치를 추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며 “정부와 경북도의 추이를 좀더 지켜보고 연구센터 유치를 계속 추진할 지 여부를 판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박동혁기자

포항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