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문화 나눔으로 지역 기업과 상생의 길을 찾다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7-04-05 02:01 게재일 2017-04-05 12면
스크랩버튼
포항시립미술관, 6~16일 포스코갤러리서<BR> `찾아가는 미술관- 철의 물성과 비물성展`<BR>포스코 사내 현장 찾아 근로자들 손쉽게 작품 관람<BR>김주현·노해율·엄익훈·이성민 작가 철 소재 조각작품 24점 전시
▲ 이성민作 `Pieta `

포항시립미술관(관장 김갑수)은 오는 6일부터 16일까지 포항제철소 내 포스코갤러리에서 `찾아가는 미술관-철(鐵)의 물성과 비(非)물성전`을 연다.

이번 전시는 시민과 함께 호흡하는 지역미술관의 역할 강화와 `문화나눔`을 실천하기 위해 지역 기업체 사내 현장을 찾아 근로자들이 직장에서 작품을 손쉽게 관람할 수 있도록 수준 높은 작품을 전시한다.

전시 작품은 철(Steel)을 소재로 한 조각 작품 24점이며, 조각예술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작가 4명의 작품을 통해 철 재료의 강한 물성(물질적 속성)과 철조각이 움직임, 빛, 소리, 그림자 등 무형의 비물질적 요소를 만났을 때 나타나는 독특한 미를 체험하게 하고자 기획됐다.

▲ 김주현作 `9천개의 경첩`
▲ 김주현作 `9천개의 경첩`

전시 작품은 중진 여류 조각가 김주현을 비롯해 지명도 높은 젊은 조각가 노해율, 엄익훈, 이성민 작가의 최근 작품들이 선보인다.

김주현의 `9천개의 경첩`은 같은 크기의 함석판을 일련의 법칙으로 연결한 형태를 이룬 작품이다. 부분과 전체가 같은 모양으로 반복되는 작품의 기하학적 구조는 오늘날 사회 구성요소들이 단순하게 합쳐져 이뤄진 것이 아니라 기초적 법칙을 기반으로 소통, 투쟁, 갈등, 조화, 변화 등의 상호관계망 속에 얽혀 있는 역학적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노해율의 `One Stroke 01`은 직육면체 형태의 길쭉한 철 파이프 기둥 10개가 전동회전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기둥들의 `움직임`과 `그림자`를 통해 불균형적이고 불안정해 보이지만 기둥들이 균형을 되찾는 길은 움직임을 제거하는 것, 즉 고정되고 정형화된 것에 있지 않고 오히려 끊임없는 움직임과 변화 속에서 균형과 안정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 엄익훈作 `사모트라의 니케`
▲ 엄익훈作 `사모트라의 니케`

엄익훈의`Aggregation-gravel`은 차가운 금속에 가해진 열에 의해 생명력이 가득한 덩어리로 변모한 작품이다. 우주의 탄생과 생명에 관한 작가 자신의 생각을 재료에 투영하는 방법으로 탄생한 이 작품은 차가운 철 조각의 내부에 조명을 넣어 투각된 비정형의 구멍 사이로 새어나온 빛에 의해 투영된 그림자 형상을 벽면에 만들어 낸다. 이 그림자 형상은 그리스 조각의 신화나 역사적인 인물로 둔갑해 있다.

이성민의 `Pieta`는 끌과 망치 대신 산소용접기를 사용하는 색다른 방식으로 고집스럽게 쇳덩어리를 깎고 또 깎아 거칠게 빚어낸다. 이렇게 빚어지는 철조 단편들은 산소용접기의 터치에서 나오는 `생채기`같은 형태인데, 작가의 의도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불의 물리적 작용(무작위성)이 개입된다. 작가는 차갑고 무거운 철에 열을 가하고 산소압력으로 쳐내면서 딱딱하고 거친 형태에 생명력을 불어넣은 인체 조상(彫像)을 탄생시킨다.

▲ 노해율作 `One Stroke 01`
▲ 노해율作 `One Stroke 01`

김갑수 포항시립미술관장은 “포스코 창사 49년을 기념해 기획한 이번 전시는 스틸산업을 통해 새로운 도시 미래를 모색하고 있는 포항시와 한국근대산업화의 주역인 포스코 양쪽 모두에게 의미가 깊다”면서 “많은 시민들이 현대조각의 다채로운 면모를 발견할 수 있는 기쁨을 만끽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찾아가는 미술관-철(鐵)의 물성과 비(非)물성전`은 좀 더 발전된 형태로 오는 20일부터 7월 2일까지 포항시립미술관 1·3·4전시실에서 열린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