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개발공사 포항융합지구 사업 참여 불투명<BR>시행사 자금조달 능력부족으로 사업연기 우려
동해안발전본부의 설립이 확정된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에 대한 부지 적정성 문제가 불거지며 부지 재선정 논란이 점화되고 있다.
이전 예정지인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 사업에 참여할 예정이었던 경북개발공사의 참여가 사실상 불가능해지면서 사업이 원만하게 진행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지방공기업의 각종 사업에 대한 타당성 검토업무를 맡고 있는 지방공기업평가원은 최근 경북개발공사의 포항융합지구 특수목적법인(SPC) 출자심사에 대해 `다소 미흡`이라는 판정을 내렸다.
이같은 판정은 경북개발공사의 사업참여가 부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공기업 특성상 이러한 심사결과를 받아들고도 사업참여를 하는 것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경북도 등에 따르면 동해안발전본부는 포항융합지구 내 3만3천㎡ 부지에 연면적 6천㎡규모로 오는 2018년 말 준공을 목표로 사업이 진행돼 왔다. 동해안발전본부 부지는 시행사인 삼진씨앤씨가 경북개발공사를 참여시킨 특수목적법인을 설립한 뒤 PF자금으로 매입해 포항시에 무상제공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경북개발공사의 사업참여가 불투명해지면서 자체자금이 70억원대에 불과한 소기업인 삼진씨앤씨가 사업 초기단계인 특수목적법인 설립부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상황이 이어지자 일각에서는 동해안발전본부 포항이전사업을 원점에서 재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동해안발전본부 이전대상지 선정위원회가 이전지 논의를 한창 진행 중이던 지난해 8월 포항시에서 최종 제시한 부지는 최종선정된 포항융합지구를 포함 남·북구 3곳씩 총 6곳이었다.
나머지 후보지는 △흥해읍 성곡리 산 34의 1번지 일대 △장성동 산 158의 3번지 일대 국방부 소유 부지 △남구 일월동 679의 3번지 일대 국·공유지 △오천읍 문덕리 해병대사격장 △오천읍 문덕리 산 87의 3번지 일대 등이었다.
최종후보지로 선정된 포항융합지구는 평가항목 중 연계성장 잠재력과 발전잠재력, 접근성, 토지확보용이성, 기반시설 설치 용이성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당시 각 후보지의 평가점수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포항융합지구는 오천읍 문덕리 산 87의 3번지 일대와 마지막까지 치열한 각축을 벌였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따라서 이전후보지 재논의를 통해 동해안발전본부가 포항지역에 하루라도 빨리 이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는 것이다.
포항지역의 한 부동산 전문가는 “이미 10년 가까운 세월을 첫 삽도 퍼올리지 못하고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포항융합지구에 기대하기 보다는 다른 후보지를 찾아보는 것도 한 방법”이라며 “지난해 최종후보지 선정과정에서 크게 관심을 드러낸 구룡포지역도 참여한다면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하지만, 선정위에서 철저한 심사과정을 통해 선정한 이전부지인 포항융합지구 안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후보지 변경 여하에 따라 포항 남구와 북구, 더 넓게 본다면 경주, 영천, 영덕, 울진 등 주변 지자체에까지 영향이 미칠 수 있다. 현 상황에서 부지 재논의에 들어갈 경우 자칫 지역간 분쟁으로 이어져 더욱 큰 혼란이 야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포항시의회 A의원은 “비록 여러 문제로 인해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 사업이 난관에 봉착했으나 포항시의 적극적인 노력이 수반된다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문제”라며 “자금력과 사업능력이 뒷받침된 대형 시행사 유치에 성공한다면 반전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동혁기자 phil@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