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9일이 대선일로 확정되었다. 이번 대선이 그간의 흩어진 민심을 수습하는 계기가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이번 대선에 유권자들이 적극 참여하여 세계 언론이 찬탄하는 한국의 광장 민주주의를 더욱 성숙시키는 계기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대구·경북은 익히 아는대로 이 나라 보수 표심의 본거지이다. 자유당 시절 야도(野都)였던 대구는 5·16 이후 보수화의 길을 걷게 되었다. 지난 18대 대선에서도 대구·경북은 박근혜 후보를 80% 이상 압도적으로 지지하여 그를 당선시키는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이 나라 정치의 보수의 온상인 이 지역은 특정정당의 일당 독점구도의 텃밭이 된 지 오래다. 이 지역에서 야당 활동은 독립운동하기 보다 어렵고 야당후보를 지지하면 이단아로 취급받기도 한다. 이 지역에서는 보수는 애국이고 진보는 종북이라는 오해를 받기도 한다. 이러한 풍토하에서 이 지역에 특정 정당의 일당 독점적 구조는 오래도록 지속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한 이 지역의 민심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이후 흔들리고 있다. 대구· 경북의 민심은 근년 `작은 변화`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총선에서는 야권의 김부겸과 홍의락이 국회의원에 당선 되었다. 대구의 지방 선거에서도 야권은 17명의 의원을 당선시켰다.
지난 대선에서 박 전 대통령을 80% 이상 지지했던 이 지역에서도 탄핵 촛불집회는 끊임없이 계속되었다. 지난 주 대선 후보 지역 여론 조사에서는 야당 후보 문재인과 안희정이 여당 후보 홍준표를 많이 앞서고 있다.
정당 지지도에서도 민주당(29%)이 자유한국당(23%)이나 바른 정당(8%)을 훨씬 앞서고 있다. 물론 이러한 반응이 대선 당일까지 유지될 것인지는 의문이다. 그러나 대구·경북의 표심이 흔들리고 있음은 분명한 현실이다.
이러한 지역 민심이 흔들리는 배경은 원천적으로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국정 파탄에 대한 실망 때문이다.
집권 여당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 발전의 반대급부가 없었다는 반감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더구나 집권 여당은 탄핵 정국 책임문제로 분당까지 가면서 두 당 간의 반목과 갈등은 계속되고 있다.
보수적인 이곳의 표심을 사로잡을 대선 후보는 아직 보이지 않고 있다. 이 지역 민심은 `미워도 다시 한 번`식의 보수 회귀 성향도 강하지만 중도 진보 쪽으로 이동하려는 표심도 만만치 않다. 지역 민심은 대통령의 국정 농단은 비판하면서도 `파면`은 지나치다는 반응이 우세하다.
이런 맥락에서 보수 개혁을 외치는 바른정당의 유승민과 주호영 의원은 박 전 대통령에 대한 `배신자`라는 입장이 이곳 저곳에 번져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민심은 흔들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번 대선에서 지역민들의 표심은 과연 어디로 향할 것인가.
현재 각 당은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을 치르고 있어 예단하기는 어렵다. 현재로는 대구·경북 인들의 표심은 여전히 보수 성향의 대선 후보를 지지할 가능성이 높다. 여권의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후보에 대한 지지를 합하면 과반이 넘는 60~70%까지 차지할 전망이 우세하다. 이 지역의 30여 년 전통의 표심은 하루 아침에 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 점은 호남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이곳의 청년들의 표심은 다소 변하고 있는 것이 감지된다.
이곳이 과거와 달리 중도 또는 야권 후보에게도 30~40% 내외의 지지는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대구·경북이 과거처럼 특정 정당에만 `묻지 마 투표`를 하지 않을 것이 거의 확실시 된다.
그러나 이번 대선에서도 지역 표심이 정치적 다양한 스펙트럼을 형성하기에는 아직 이른 것처럼 보인다.
5월 9일의 대선 결과를 주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