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경북 대선 표심, 어디로 향할 것인가

등록일 2017-03-20 02:01 게재일 2017-03-20 19면
스크랩버튼
▲ 배한동<br /><br />경북대 명예교수·정치학
▲ 배한동 경북대 명예교수·정치학

5월 9일이 대선일로 확정되었다. 이번 대선이 그간의 흩어진 민심을 수습하는 계기가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이번 대선에 유권자들이 적극 참여하여 세계 언론이 찬탄하는 한국의 광장 민주주의를 더욱 성숙시키는 계기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대구·경북은 익히 아는대로 이 나라 보수 표심의 본거지이다. 자유당 시절 야도(野都)였던 대구는 5·16 이후 보수화의 길을 걷게 되었다. 지난 18대 대선에서도 대구·경북은 박근혜 후보를 80% 이상 압도적으로 지지하여 그를 당선시키는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이 나라 정치의 보수의 온상인 이 지역은 특정정당의 일당 독점구도의 텃밭이 된 지 오래다. 이 지역에서 야당 활동은 독립운동하기 보다 어렵고 야당후보를 지지하면 이단아로 취급받기도 한다. 이 지역에서는 보수는 애국이고 진보는 종북이라는 오해를 받기도 한다. 이러한 풍토하에서 이 지역에 특정 정당의 일당 독점적 구조는 오래도록 지속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한 이 지역의 민심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이후 흔들리고 있다. 대구· 경북의 민심은 근년 `작은 변화`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총선에서는 야권의 김부겸과 홍의락이 국회의원에 당선 되었다. 대구의 지방 선거에서도 야권은 17명의 의원을 당선시켰다.

지난 대선에서 박 전 대통령을 80% 이상 지지했던 이 지역에서도 탄핵 촛불집회는 끊임없이 계속되었다. 지난 주 대선 후보 지역 여론 조사에서는 야당 후보 문재인과 안희정이 여당 후보 홍준표를 많이 앞서고 있다.

정당 지지도에서도 민주당(29%)이 자유한국당(23%)이나 바른 정당(8%)을 훨씬 앞서고 있다. 물론 이러한 반응이 대선 당일까지 유지될 것인지는 의문이다. 그러나 대구·경북의 표심이 흔들리고 있음은 분명한 현실이다.

이러한 지역 민심이 흔들리는 배경은 원천적으로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국정 파탄에 대한 실망 때문이다.

집권 여당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 발전의 반대급부가 없었다는 반감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더구나 집권 여당은 탄핵 정국 책임문제로 분당까지 가면서 두 당 간의 반목과 갈등은 계속되고 있다.

보수적인 이곳의 표심을 사로잡을 대선 후보는 아직 보이지 않고 있다. 이 지역 민심은 `미워도 다시 한 번`식의 보수 회귀 성향도 강하지만 중도 진보 쪽으로 이동하려는 표심도 만만치 않다. 지역 민심은 대통령의 국정 농단은 비판하면서도 `파면`은 지나치다는 반응이 우세하다.

이런 맥락에서 보수 개혁을 외치는 바른정당의 유승민과 주호영 의원은 박 전 대통령에 대한 `배신자`라는 입장이 이곳 저곳에 번져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민심은 흔들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번 대선에서 지역민들의 표심은 과연 어디로 향할 것인가.

현재 각 당은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을 치르고 있어 예단하기는 어렵다. 현재로는 대구·경북 인들의 표심은 여전히 보수 성향의 대선 후보를 지지할 가능성이 높다. 여권의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후보에 대한 지지를 합하면 과반이 넘는 60~70%까지 차지할 전망이 우세하다. 이 지역의 30여 년 전통의 표심은 하루 아침에 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 점은 호남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이곳의 청년들의 표심은 다소 변하고 있는 것이 감지된다.

이곳이 과거와 달리 중도 또는 야권 후보에게도 30~40% 내외의 지지는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대구·경북이 과거처럼 특정 정당에만 `묻지 마 투표`를 하지 않을 것이 거의 확실시 된다.

그러나 이번 대선에서도 지역 표심이 정치적 다양한 스펙트럼을 형성하기에는 아직 이른 것처럼 보인다.

5월 9일의 대선 결과를 주시한다.

시론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