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원구성 협상 교착이 `세비 반납` 舌戰으로

김진호기자
등록일 2016-06-03 02:01 게재일 2016-06-03 3면
스크랩버튼
안철수 “기한 못지키면 안받아”<BR>더민주 “유치한 처사” 비난<BR>새누리도 “왜 판깨나” 불만 토로

20대 국회 원구성 협상이 국회의장직 배분 문제로 교착 상태에 빠진 가운데 2일 여야 3당이 세비반납 논란을 빚고 있다.

국민의당이 20대 국회가 예정대로 개원하지 못하면 세비를 받지 않겠다고 나서자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이 제동을 걸고 나서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1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국회가 제 때 일을 시작하지 못한다면 국민의당은 원 구성이 될 때까지 세비를 받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 대표는 최고위 전 사전회의에서 박지원 원내대표와 최고위원들에게 동의를 구하고 이같은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 대표는 4·13 총선 직후인 지난달 19일 당 회의에서도 “20대 국회가 임기시작일인 5월30일까지 원 구성이 안되면 원이 구성될 때까지 세비를 받지 말아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국민의당은 관례에 비춰 7일까지 원 구성이 이뤄지지 않으면 8일부터 원 구성이 될 때까지 `무노동 무임금`을 적용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원구성 협상에서 국민의당과 공동보조를 취해온 더민주는 세비반납은 과한 처사라며 반박했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 오찬간담회에서 “국회의원 세비로 시비거는 게 제일 유치하다고 본다”며 “전형적인 반(反)정치 논리로, 우리가 월급에 연연하는 것도 아닌데 모욕감을 느낀다”고 비판했다. 우 원내대표는 “그렇게 말하면 남북대화 1년간 안 이뤄지니 통일부 장관은 1년치 월급 반납해야 한다”고도 했다.

박완주 원내수석부대표도 “`무노동 무임금` 프레임은 옳지 않다. 원구성을 위해 협상도 하고 민생TF도 일하고, 법도 준비하고 있다”며 “오히려 세비반납으로 `놀고 먹는 국회`, `일 안하는 의원` 프레임에 걸릴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새누리당은 야권이 원 구성 협상을 깬 것부터 해명해야 한다고 책임을 돌리며 세비 반납에 대한 논의는 그 다음이라고 지적했다.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는 세비 반납에 대해선 “우리 당의 입장은 의원들 총의를 들어야 하니 유보하겠다”며 “19대 국회 때도 새누리당이 세비를 반납하기로 결정한 바 있는데, 당시 의원총회를 거쳐 결정했었다. 이는 원내지도부가 바로 결정할 문제가 아니라 의원들의 총의를 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간 내에 원구성 하면 되지 왜 판을 깨고 세비반납을 하겠다는 것이냐”고 불만을 토로했다.

더민주와 새누리당 쪽에서는 세비 반납 문제가 자칫 포퓰리즘 논란으로 흐를 수 있는데다 정치혐오증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는 분위기이다.

세비반납 논란이 번지자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세비 반납이 목표가 아니라 원구성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