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추인보류 대구 동구갑·동구을·수성을·달성군<bR> 무소속 금배지 확실시… 여-야 박빙 수성갑도 관심<bR> 경북선 포항·경주·구미을 `여 對 무소속` 구도로
새누리당 텃밭이었던 대구·경북지역 선거판도가 새누리당 공천 후유증으로 급변하고 있다.
특히 대구지역의 경우 김무성 대표의 공천추인 거부로 인해 대구 동구갑과 동구을, 수성을, 달성군 등 4개 선거구가 무공천지역으로 선거를 치르게 돼 이 지역에서는 무소속 후보가 금배지를 달 것이 확실시된다.
24일 현재 새누리당은 12개 지역구 가운데 조원진 윤재옥 김상훈 의원 3명만 남기고 9개 지역구 현역의원이 공천배제되거나 불출마선언했다. 이 가운데 유승민·주호영·권은희·류성걸 의원이 탈당후 무소속후보로 출마해 무소속 비박연대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서상기·홍지만·김희국 의원은 컷오프를 받아들여 출마를 포기했다. 이 가운데 김무성 대표가 24일 단수공천지역 추인을 거부한 대구 동구갑과 동구을, 대구 달성군은 새누리당 무공천지역으로 선거를 치르게 됐고, 여성우선공천지역으로 분류돼 이인선 전 경북경제부지사가 단수추천됐으나 법원이 공천효력정지가처분신청을 받아들임에 따라 공천장을 받지못한 수성을 역시 무공천지역으로 남게됐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 공천위원회가 단수공천한 대구 동구갑에 공천한 정종섭 전 행정자치부 장관, 대구 동을의 이재만 전 대구 동구청장, 대구 달성군의 추경호 전 국무조정실장, 그리고 대구 수성을의 이인선 전 경북부지사는 공당의 공천위원회 공천을 받고도 총선에 출마조차 못하는 곤경에 처했다. 이들 무공천지역에서는 의정활동을 하면서 지역기반을 쌓아온 류성걸(대구 동구갑)의원, 유승민(대구 동구을)의원, 주호영(대구 수성을)의원 등 현역의원들의 독주체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달성군의 경우 새누리당 공천을 신청했고,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앞서면서도 공천에서 배제된 구성재 전 조선일보 영남본부장과 수년전부터 무소속출마를 저울질해 온 박경호 전 달성군수가 맞붙어 무소속후보간 금배지 쟁탈전이 펼쳐 질 전망이다.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후보가 수차례의 여론조사에서 우세한 것으로 나타난 대구 수성갑도 전국적인 관심지역구로 꼽힌다. 새누리당 대권주자로 꼽히는 김 전 지사가 새누리당 단수추천을 받아 뛰고 있으나 공천후유증 여파 등으로 지지세 올리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에서도 공천에 반발한 전·현직의원과 전 지방자치단체장이 무소속 후보로 출마해 새누리당 후보를 위협하고 있다. 먼저 친박계 3선중진으로서 공천배제된 김태환 의원이 무소속 출마한 구미을지역구의 경우 단수공천된 새누리당 장석춘(전 한국노총위원장)후보와의 접전이 예상된다. 정종복 전 의원이 무소속 출마한 경주지역구도 새누리당 후보인 김석기 전 한국공항공사 사장과의 한판승부가 관심을 끌고있다. 여성전략공천지역으로 분류돼 김정재 후보가 공천된 포항북구 역시 새누리당에서 공천배제된 데 반발해 무소속 출마한 박승호 전 포항시장간의 접전이 예상돼 승부를 점치기 어렵게 됐다.
따라서 현 구도대로 선거가 치러질 경우 19대 총선에서 대구·경북지역 27개 의석을 독차지했던 새누리당이 20대 총선에서는 25개 의석중 최대 7~8석을 잃는 이변의 총선이 될 것이란 게 지역정가의 분석이다.
/김진호기자 god0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