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늑장대처 눈총 받는 산림청 안동 재선충방제 올인 나서

권광순·권기웅기자
등록일 2015-12-14 02:01 게재일 2015-12-14 1면
스크랩버튼
인력 늘리고 추가예산 투입<BR>유일 해법 `수종 갱신` 추진

속보 = 고사목 숫자를 고의로 누락하는 등 안동시의 허위 보고서에 이어 허술한 방제 작업으로 확산된 안동 재선충 사태<본지 9일자 1면 보도>와 관련해 산림당국이 직접 개입하기로 했다.

13일 남부지방산림청에 따르면 지금까지 지자체가 관리하던 사유림의 경우 산주 민원 등의 이유로 적극적이지 못했던 방제방식에서 탈피해 모두베기(0.5ha 이상)와 둘레베기(0.5ha 이하)를 동시에 시행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같은 조치에도 불구하고 안동 재선충 창궐 원인 가운데 안동에 위치한 남부산림청도 국유림이 아니라는 이유로 방치했다는 비판이 거세다.

안동시가 수년간 시유림이나 사유림에 대해 자체 방제에 나섰지만 결국 백두대간 인접까지 재선충병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는 등 이번 지자체의 재선충병 방제 실패가 남부청의 관리부실에서 비롯된 것.

남부산림청이 올해 개정된 `소나무재선충병특별법`으로 사유림 병충해 방제에 직접 개입할 수 있음에도 지자체의 보고서만 믿고 늑장 대처한 것 아니냐는 비난의 화살이 쏠리고 있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특히 안동시 관할 시유림이나 사유림에는 전지역에 걸쳐 재선충병이 창궐한데 반해 남부산림청이 관리하는 안동지역 국유림의 경우 단 1곳도 발생하지 않은 것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에 따른 방제 비용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산림 당국은 내년 안동 재선충병 방제에 우선 10억원 이상의 예산을 추가 투입하기로 했다.

남부산림청은 먼저 영주국유림관리소 인력 20여명을 안동지역 재선충병 방제에 집중 투입하는 한편 내년부터 포항지역에 집중된 예산과 인력도 이곳에 집중하기로 했다.

안동시도 사유림 산주들을 상대로 재선충병 확산의 위기를 홍보하는 한편 모두베기와 둘레베기 등의 적극적인 방제 동의를 얻어내는데 주력하기로 했다. 또 올해 7억원 규모의 당초 재선충병 등의 방제비용도 내년에 12억원 이상 재편성하기로 했다.

산림 당국은 안동지역 재선충병이 타 지역으로 전염되지 않도록 방어선을 구축하고 선단지부터 밀집지역으로 방제하는 일명 `압축 방제`를 실시하기로 했다. 또 최근 병·해충이 발생한 소나무를 중심으로 모두베기나 둘레베기 등의 방제를 통해 지역 특성에 알맞은 수종을 조림하는 `수종 갱신`을 추진하기로 했다. 재선충병을 완전히 제압할 수 없으니 우리나라의 소나무·잣나무 분포를 점차 줄여나가는 것을 유일한 해법으로 제시했다.

남부산림청 관계자는 “내년부터 안동지역 재선충병 방제에 집중하기로 했다”면서 “향후 기후 변화에 따라 고온과 스트레스에 취약한 소나무가 생존에 어려운 측면도 있어 숲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앞으로 `수종 갱신`을 통해 수천억, 수조원의 예산도 절감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안동/권광순·권기웅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