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는 다시 국정으로 돌아가려 한다. 새누리당 이정우 대변인은 최근 “좌파 성향의 학자들이 집필한 역사교과서의 편향성과 反대한민국 정서는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며 “좌파 사가들의 역사관이 계속 교과서에 반영된다면 대한민국의 정체성은 심각하게 훼손될 것”이라 했다.
지금 많은 논자들이 국정을 반대한다. 하나의 역사적 사실을 놓고 다른 관점에서 해석하고 토론하는 것은 문명국의 보편적 상식이고, 그래야 다원적 가치와 창조성, 상상력이 확대되는데, 역사 해석의 권리를 국가가 독점하는 것은 이 모든 장점을 포기하자는 얘기라 한다. 맞는 말이지만, 그 말은 `원론적으로`만 맞다.`실제`로는 정반대로 나타난다.
뉴라이트 계열 학자들이 만든 교학사 국사교과서가 처음 나왔을때를 보면 금방 알 수 있다. 당시 몇몇 학교들이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했다. 그러자 곧바로 그 학교들은`집중공격의 대상`이 됐다. 일부 학부모들까지 부화뇌동해서 “교학사 국사책으로 가르치는 학교에 아이들을 보내지 않겠다”고 압박했고, 학교에는 쉴새 없이 협박전화가 걸려왔다. 심지어 “죽여버리겠다”는 극언까지 퍼부었다. 이같은 집중포화를 견디지 못해 “교학사 교과서를 쓰지 않겠다”고 항복을 했고, 결국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한 학교는 단 한 곳도 없게 됐다. “검인정으로 해야 다양성과 개방성과 창의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논리는 완전 허구임이 현실적으로 드러난 것이다.
좌파 입맛에 맞는 국사교과서만 살아남는 것이`검정 교과서의 현실`이다. 노무현정권때 검정으로 돌아선 이유가 있다. 국사교과서 만큼 좋은 `혁명 투쟁의 무기`가 없다. 그래서 사생결단하고 국정을 반대한다. 그러나 국정도 변해야 한다. 그동안 금기시됐던 사항들을 분단극복을 위해 부분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서동훈(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