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의 한 교수의 투신이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부산대에서는 K교수가 투신한 본관 건물에 추모 현수막이 내걸리고, 안타까운 죽음을 애도하는 동료 교수들과 학생들의 행렬이 온종일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부산대 총장은 이 충격적 사건 이후 이번 일을 책임지고 사퇴 의사를 밝혔다고 한다. 그리고 모든 논의를 원점으로 돌리기로 하였다고 한다. 대학의 자율성을 지키려는 교수회의 결정을 부산대는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대학교수의 자살까지 유도한 이번 사태의 본질은 무엇인가?
문제의 발단은 각 대학들이 실시해온 총장직선제를 교육부가 강제로 간선제로 바꾸라고 강권하면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사실상 부산대가 교수회의 결정을 받아들이면 교육부의 심각한 재정적인 징계를 각오해야 하는 형편이다.
한국의 대부분의 교수들은 부산대가 직면하고 있는 상황을 동정하고 있을 것이다. 자율을 지켜야 하고 그리고 재정적인 불이익을 감수해야 하는 부산대의 처지가 남의 일이 아닌 것처럼 느껴진다.
지난 3월 전국 국립대에 교육부가 보낸 공문이 부산대 교수회에 의해 공개 되었다고 한다. 총장임용후보자 선정 과정과 관련한 학칙 등을 개정해 직선제 요소를 모두 삭제하라는 내용이다. 교육부는 앞서 2012년에도 각 국립대의 총장 직선제 폐지 노력을 평가에 반영해 지원금을 차등 지급하겠다고 발표했었다.
대부분의 국립대가 이에 굴복하여 총장선출을 간선제로 전환하였고 이제 마지막 남은 부산대가 교수자살이라는 초유의 사태까지 몰고 오면서 극심한 내홍을 겪고 있는 것이다. 전국 거점국립대교수회연합회는 대학 자율성을 무시한 교육부의 정책이 이번 사태의 원인이라며 릴레이 집회를 열기로 했다고 한다.
최근 인근의 경북대가 간선제를 통해 선출한 총장을 교육부가 이유도 밝히지 않은 채 승인을 하지 않고 있어 총장공석의 대학으로 유지되고 있고 교수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고 한다.
여기서 우리는 교육부의 역할을 생각하게 된다. 교육부는 교육을 강제로 주도하는 부서라기 보다는 교육의 창조적인 사고와 자율을 도와주는 그런 기관이어야 한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교육부는 각급 학교들이 독립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특히 대학의 경우 이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교육부가 금전적인 지원을 무기로 대학들을 지나치게 감독하고 지휘하려고 한다면 대학들의 창의성과 독창성을 훼손할수 있기 때문이다.
자율을 주었을 때 자율이 스스로를 정화하는 능력이 있고, 규제보다는 자율에 의한 정화능력이 훨씬 강한 힘을 갖기 때문이다.
대학들이 교육부의 각종 규제에 허덕이지 않아야 한다. 구미 선진국들의 교육부는 학생정원을 정하지도 않고 총장선임 방식을 간섭 하지도 않는다. 각 대학은 다양한 형태의 총장선출 방식을 가지고 있다.
제기된 문제는 사립대학들도 참조를 하였으면 한다.
상황은 다르지만 지금 부산대가 겪고 있는 문제를 지난해 포스텍은 경험했다.
총장선임의 자율성과 교수의견의 반영을 위한 혼란의 시간을 겪으면서 포스텍 뿐만 아니라 많은 사립대학들이 `자율`이란 단어를 되새기고 있다.
물론 교수직선제의 폐해도 있고 자율이 방종에 흐르는 일반론도 있다. 하지만 대학의 근본은 창의성에 있고 창의는 자율을 근간으로 하고 있기에 대학의 운영은 국립대학이건 사립대학이건 대학의 자율을 최대한 보장해 주어야 창의적인 힘을 바탕으로 대학은 더 크게 발전 할수 있는 것이다.
부산대 사태를 계기로 교육의 자율성과 창의성이 더 발전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