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한국은행이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8월부터 올 4월까지 9개 주요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신규 취급액 기준) 가운데, 대출금 상환 용도 비중이 31.2%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부동산대출 관련 규제가 완화되고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인하되기 전인 지난해 1~7월(17.1%)의 약 2배에 육박하는 수치다.
반면에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받은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같은 기간 50.4%로 절반을 넘었으나 지난해 8월부터 올 4월 사이 39.8%로 하락했다. 즉, 주택담보대출로 집을 구매한 경우보다 다른 빚을 갚으려고 받은 대출이 크게 늘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중 생계자금 목적의 비중은 12.2%에서 11.2%로 소폭 줄었고, 전세자금대출 등 기타목적도 20.3%에서 17.8%로 감소했다.
지난해 8월 이후 LTV 구간별로 주택담보대출을 보면 LTV 60% 초과~70% 이하 구간이 67.3%의 증가율을 보여 가장 높았고 70~80% 구간도 61.7% 늘었다. 하지만 LTV 50~60% 구간은 오히려 14.5% 감소했다.
한은 측은 이에 대해 LTV 50~60% 구간의 대출자들이 규제 완화 이후 추가 대출을 받았거나 신규 대출자가 규제한도(70%)에 가깝게 대출을 받았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편, 은행 주택담보대출자의 신용도와 소득 수준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 중 신용이 상위 1~4등급인 대출자 비중은 지난해 1~7월 84.3%에서 지난해 8월부터 올 4월까지 87.2%로 늘었다.
또 연소득 3천만원 초과 대출자의 대출 증가액이 전체의 71.9%를 차지했다.
지난 4월 말 현재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765조 2천억원으로 한달 전보다 10조1천억원 늘었고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383조5천억원으로 조사됐다.
/고세리기자
manutd20@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