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이제는 바람을, 깃발을 내려놓을 때다

眞易 전병덕(수필가)
등록일 2015-06-24 02:01 게재일 2015-06-24 19면
스크랩버튼
온 나라가 뒤숭숭하다. 도심과 재래시장은 한산해졌고 관광업계는 직격탄을 맞았으며 유통업계와 중소기업, 소상공인업자와 농민 등 계파와 계층을 막론하고 휘청거리지 않는 곳이 없다.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침병(侵病) 이후 월여 동안의 풍경이다.

언제나 무능과 무지가 축(軸)을 같이한다. 정부는 “낙타 만지지 말고, 사람 많은 곳 피하고, 손 깨끗이 씻으라는”무소신의 한심함으로 초기 대응을 그르쳤다.

정보 공개로 방침을 바꾼 뒤에도 정부는 허둥거렸다. 접촉면을 차단 개미 한 마리도 지나치지 않겠다던 장담은 `메르스 병원명단`에서 여지없이 무너졌다. 여기에 혼란을 가중시키는 사람들마저 나타났다. 늦은 밤 개선장군처럼 불확실성 정보를 공개한 어느 시장이 그러하고, 국회에서 국가를 탓하며 회피성 발언을 한 어느 의사가 또한 그러하다.

묵묵히 사력을 다하는 사람들도 있다. 의료진들은 무게 3~10kg의 방호복을 착용하고 각자 위치에서 매일매일 힘든 사투를 벌여 왔다. 그러나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이 따뜻한 것만은 아니다. 어느 아파트에서는 “우리 아파트에 소방관이 살고 있으니 조심하라.”는 방송을 했고, 어느 학교에서는 의료진의 자녀들을 강제 귀가시켰다고 한다.

아름다운 소식도 들린다. 평택에서는 대학생들이 시민들에게 마스크와 손 세정제를 나누어주며 캠페인을 하고, 서울에서는 환경미화원들이 저소득층 메르스 환자를 위한 성금을 보내왔으며, 울산과 구미에서는 공무원들이 특별 헌혈 행사를 가졌다.

절에서 승려들이 다투고 있었다. 바람에 나부끼는 당간지주의 깃발을 보고 한쪽 편에서는 바람이 흔들린다고 했고 다른 편에서는 깃발이 흔들린다고 했다. “바람이 흔들리는 것도 아니고 깃발이 흔들리는 것도 아니다. 그대들의 마음이 흔들리는 것이다.” 15여 년의 은둔 생활을 마치고 모습을 드러내는 혜능(慧能)선사의 제일성이었다.

그렇다. 이제는 바람과 깃발을 내려놓고 마음을 하나로 모아야 할 때가 되었다. 그래서 위기에서 어김없이 빛을 발하는 대한민국 본연의 모습을 되찾아야 한다.

/眞易 전병덕(수필가)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