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스코의 고강도 쇄신 행보

등록일 2015-05-18 02:01 게재일 2015-05-18 19면
스크랩버튼
대기업 치고 비자금에서 자유로운 기업이 있겠는가. `부패질서`는 비자금과 동전의 양면 같다. `물귀신 리스트`를 남기고 자결한 전 경남기업 회장이 대표적이다. 정·관계 로비 자금 때문에 경영이 흔들렸고, 더 이상 비자금이 통하지 않자`기업인 최후의 길`을 선택했고, 보복심리로`현정권 실세`들의 이름을 남겨 또 한번의 사정 회오리바람을 일으켰다. 비자금은 우리 사회에 필요악일지 모른지만, 그 후유증은 심각하다.

포스코건설에 대한 비자금 의혹 수사가 확대되면서 포스코는 비상대책을 세우게 됐다. 포스코는 그동안 `근무하고 싶은 기업 1위`였고, 도덕성 면에서 모범적이었으며, 지역친화적 경영에서도 흠 잡을 데가 없었다. `박정희-박태준 정신`을 바탕으로 건설됐고, 민족자본으로 이룩된 철강산업이라는 점 만으로도 포스코는 존경받는 기업이다. 그러나 `정치외풍`은 어느 기업보다 심하게 받아왔으니, 정권이 바뀔 때마다 총수가 바뀌었고, 포항종합제철소 초기에는 `종이마패`가 외풍을 막아주기도 했었다.

4월 말 포스코 사외이사들은 `포스코 경영위기 극복을 위한 제언`을 경영진에 전달했었다. 구조조정을 적절히 하고, 인사시스템을 투명하게 하고, 거래관행을 객관 타당성 있게 하고, 비리에 대해서는 무관용의 윤리원칙을 적용할 것을 제의한 것이다. 포스코는 이 제안을 받아들여 `비상경영쇄신위원회`를 구성하고, 사내 이사 전원과 주요 5개 계열사 대표들이 위원으로 참여하면서, 이들 32명은 권오준 위원장에게 전원 사표를 제출했다. 임진왜란때 이순신 장군이 `필생즉사, 필사즉생(必生卽死, 必死卽生)`의 정신으로 한산대첩을 이뤄냈듯이 포스코도 그런 각오로 경영을 쇄신하고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각오였다.

포스코는 국내 경영 뿐 아니라 해외에서 추진중인 제철소 건립에도 `쇄신`을 단행키로 했다. 권 회장은 “해외 각 지역의 생산·판매·서비스 체계가 보다 더 현지말착형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했다. 그동안 현지 주민과 시민단체와의 소통이 부족했다는 지적을 수용한 것이다. 인도 오디샤 주정부와는 2005년 1천200만t 규모의 일관제철소 건설 MOU를 체결했지만, 지난 10년간 별 진척이 없었다. 법적 절차와 행정 인허가가 지연되고, 주민들과 시민단체들의 반발이 심했다. 국내나 국외에서나 민심을 얻는 일이 최우선이다.

포스코의 기부문화는 지역 친화경영의 요체가 된다. 포스코1% 나눔재단은 네팔 구호 성금 10만 달러를 적십자사에 기탁했다. 포스코 임직원 3만 명 가량의 급여 1%를 기금으로 삼아 아이티 지진, 일본 쓰나미, 필리핀 태풍, 세월호 참사 등 국내외 재난 재해 구호성금으로 기부해왔다. `착한 기업`포스코의 이미지가 이번 경영쇄신을 통해 더 확고해졌으면 한다.

이경재의 일본을 읽다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