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 미국에서 기억에 관한 실험을 한 적이 있다고 한다. 14세 소년을 모아 인터뷰를 한 후 34년이 지나고 그때의 일을 기억하게 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까? 그들이 기억한 10대의 일과 그 당시 기록이 일치하지 않았다. 부모와 사이가 매우 좋았다고 기억한 이는 실제로 10대에는 부모와 갈등이 많았다고 기록했었다. 또한 10대에 외향적이었다고 기억한 이의 기록에는 자신을 내성적이고 수줍음이 많다고 적었다. 왜 이럴까? 기억에 현재가 끼어들기 때문이다. 모든 기억은 통째로 저장되지 않고 조각으로 분류돼 저장되며 현재의 필요에 따라 짜 맞추어 끄집어낸다. 그렇다면 기억은 현재의 내가 나를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낸 이야기일 수 있다.
그럼에도 계속해서 기억을 들추는 이유는 무엇일까? 기억이 사라진다는 것은 어쩌면 우리의 과거가 사라진다는 것이다. 내가 살았던 순간과 내가 경험한 것은 오로지 나의 기억 속에만 있을 뿐이다. 그런데 내가 점차 그 때를 기억하지 못한다는 것은 나의 삶의 일부분이 사라지는 것이다. 내 삶의 흔적들은 나의 기억이 사라지면서 서서히 이 세계에서도 자취를 감추게 된다. 그렇기에 우리는 예전 친구들을 만나면 끊임없이 기억을 회상하려 한다. 같은 추억을 공유한 사람들과 그 순간을 기억함으로써 내가 살았음을 확인받고자 하는 것이 아닐까?
어쩌면 우리는 지금 잊어버리고 싶지 않은 순간을 맞이할 수도 있다. 또는 어떤 이는 지금 이 순간이 빨리 지나길 원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모두가 이 세상에 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모든 이가 자신의 과거를 따뜻하게 기억할 수는 없을까?
/이상형(철학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