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은 국내 원전 최대 집적지이다. 한수원(주),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중저준위 방폐장 등 시설과 기관들이 들어와 있다. 또 원자력 관련 연구·교육인프라도 우수하고, 차세대 원자력연구시설 조성에 적합한 넓은 부지도 마련돼 있다. 특히 최대의 강점인 암반이 동해안에는 잘 형성돼 있어서 원자력 관련 시설을 짓기에 매우 적합하다. 그러니 정부가 경북 동해안권에 관심을 집중시키는 것이다.
원자력발전소를 짓는데도 상당한 예산이 들지만, 해체하는 데도 많은 비용이 든다. 지금의 시점은 `수명을 다한 원전을 해체할 시점`이기 때문에 선진국들은 오래전부터 눈독을 들이며 세계 원전해체시장 진출을 위해 기술을 습득해왔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지금 겨우 시작단계이고, 그 해체기술을 연마할 연구센터를 어디에 둘 것인가를 두고 정부가 저울질을 하고 있다. 여기에 경합이 되고 있는 곳이 부산 기장군과 울산 울주군이다. 각 지역이 각자 타당성을 주장하고 있지만, 경북 동해안만큼 인프라가 잘 갖춰진 곳이 없다.
경북도는 오래전부터 `에너지클러스터를 동해안에 조성하겠다`고 주창해왔다. 우리나라 에너지시설이 집결된 경북동해안이 그 적지라는 것이다. 방폐장이 유치된 것도 그 노력의 일환이고, 영덕 울진지역이 새 원전 건설 적지로 지정된 것도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 조성에 도움이 된다. `한국 에너지의 중심`이 동해안에 조성된다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고, 이번 경주시와 경북도가 주관해서 18개 기관의 협력을 이끌어낸 것도 그 노력의 일환이다.
경북도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청년창업가 30개팀, 장년창업가 15개팀을 선정해 향후 8개월 간 창업지원을 해준다. `경북청년CEO육성사업`은 창업초기의 `죽음의 계곡`을 무사히 빠져나갈 수 있도록 관(官)이 돕는 것이다. 자금지원, 컨설팅, 국내외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원해 일자리 창출을 실현시키려는 것이다. 이는 관·산협력의 한 모델이다.
포항철강공단에 있는 한 업체는 악취발생으로 민원의 표적이 돼왔는데, 민·산·관의 협력위원회의 도움으로 이를 해결했다. 중소기업 단독으로는 풀기 어려운 문제를 포스코, 연구기관, 지자체 등이 힘을 모아 해결해주는 위원회가 포항에 있다는 것이 자랑이다. 기관간의 협력이 그래서 소중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