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노인요양시설, 왜 山으로 가야만 하나

등록일 2015-03-16 02:01 게재일 2015-03-16 18면
스크랩버튼
▲ 한상호포항시 노인장애인복지과 노인요양담당
평균 수명 100세 시대를 맞아 노인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포항시 역시 2014년 기준으로 총 인구 52만4천276명 중 65세 이상 인구가 6만2천118명으로 전체인구의 11.8%를 차지하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오는 2018년에는 고령사회에 진입하며 10년 후인 2026년이 되면 초고령사회로 들어선다.

이 같은 초고령사회와 함께 가족 유형의 변화 또한 더 큰 문제점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전국의 1인 가구는 지난 1980년에 38만3천 가구에서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2010년에는 414만2천 가구로 30년 사이에 10.8배 증가한 반면, 5인 이상 가구는 1980년에 397만4천 가구에서 2010년에는 139만8천 가구로 64.8%나 줄어들었다. 소규모 가구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데 비해 5인 이상 가구가 크게 줄어들면서 우리만의 미덕으로 여겨졌던 부모 봉양의 가치 역시도 점차 사라지고 있다.

집 안에서 노인이 사라지고, 자식들은 부모 봉양 대신에 노인요양시설에 맡기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사회 분위기가 안타깝기만 하다. 한때는 이 같은 행태를 두고 부모를 버리는 것이 아니냐는 비난의 목소리도 있었지만, 이제는 이를 비난하는 것이 오히려 이상하게 느껴지는 분위기다. 그렇지만 더 문제는 부모 봉양의 대안이 된 노인요양시설이지만 아직도 혐오시설로 치부하며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에 설립되는 것을 반대하는 모습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지난해 서울의 한 주택가 골목, 이 동네 주민과 상인 40여명이 노인복지시설 입주반대 집회를 열었다. 원룸 사업용 5층 건물 1층에 노인복지시설이 문을 열자 집단 반발을 하고 나선 것이다. 이들은 “구급차도 들어오기 힘든 좁은 골목에 치매 노인들이 머무는 시설을 세웠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어쩔 거냐?”고 주장하며 구청장의 면담과 진정서 제출 등 집단행동을 통해 결국 복지시설 설립을 막은 사례가 있다. 비단 이런 사례가 아니라 하더라도 현재 전국적으로 노인복지시설은 기피 시설물로 인식되며 님비현상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주소다.

`나이가 들면 어린아이가 된다`는 말처럼 노인이 되면 판단과 결정을 스스로 할 수 없게 되고 남의 도움을 받아야만 생활할 수 있는 사회적 약자가 된다는 것이다. 그런 노인들을 집에서 봉양은 못하더라도 가족들이 자주 찾아가 만나고, 돌봐야 하지만 현실이 그렇지 못하다.

물론 풍광이 좋은 노인복지시설을 택하는 것은 개인 취향의 문제라고 할 수도 있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네온사인과 사람들이 북적이는 곳, 언제든지 병원에 찾아갈 수 있는 곳에서 생활했고, 여생 또한 그런 곳에서 보내기를 원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노인들을 모셔야 할 곳이 어디겠는가? 선진국 어디를 가더라도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시설은 도심과 가깝고, 교통이 편리한 곳에 위치해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고령화 문제를 벌써 30년 전에 경험했던 일본의 경우도 도심 밀착형 노인보건시설과 노인복합시설 등으로 노인복지의 해법을 풀어갔다. 언제든지 누구나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심 한복판에 설치한 노인보건시설은 치매와 고령으로 인해 남의 도움이 필요한 노인이 장기간 거주하며 간병과 의료서비스를 함께 받을 수 있도록 해서 노인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

이 같은 결실은 노인복지에 대한 문제는`너의 문제가 아니라 나의 문제, 우리의 문제`라는 인식에서 출발해서 지역민들의 의식수준 개선이 선행됐고 이를 뒷받침하는 행정당국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제 우리도 내 부모, 내 형제, 그리고 멀지 않은 미래의 나 자신이 도심 가까운 노인요양시설에서 편히 생활할 수 있도록 좀 더 넓은 안목을 가지고 의식을 전환해야 될 때가 아닌가 생각한다.

특별기고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