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영혼이 잠식당할 때

김살로메(소설가)
등록일 2015-03-09 02:01 게재일 2015-03-09 19면
스크랩버튼
“어느 날엔가 국가를 상대로 일을 하는, 잘나가는 회사의 직원인 한 친구가 내 월급이 너무 적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소아레스, 당신은 착취당하고 있어요.`하고 그가 말했다. 그래서 나는 내가 실제로 착취당하고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나 살면서 모든 사람들은 착취당하기 마련이므로 나는 허영과 영광과 경멸과 질투와 불가능으로부터 착취를 당하느니 차라리 직물 사업을 하는 바스케스 씨에게 착취당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하고 생각한다.”

페르난두 페소아의 `불안의 책`에서 발견한 문구이다. 작가 자신을 투영한 베르나르두 소아레스는 고뇌하고 기록하는 영혼의 산책자이다. 같은 생각 앞에서 작가는 기록하고 독자는 공감한다. 그게 작가와 독자의 차이점이다. 공감의 독서만큼 값진 것도 없으니 이 경우 작가와 독자는 서로 이기는 게임이 된다.

유능한 고양이가 살찐 쥐를 차지한다, 는 서양 속담이 있다. 페소아의 저 인용글에서 `잘나가는 회사의 직원`은 살찐 쥐에 해당된다. 반면에 작가의 분신인 소아레스는 비쩍 마른 쥐에 해당될 것이다. 페소아 입장에서는 살쪘든, 말랐든 쥐는 쥐일 뿐이다. 고양이에게 먹힌다는 면에서 그 둘의 운명은 같은 셈이다. 그의 말에 의하면 `살면서 모든 사람들은 착취당하기 마련`이므로.

있는 자의 쾌락은 없는 자의 눈물 없이는 지탱할 수 없다. 그것이 자본주의의 구조이고 신자유주의의 실체이다. 허무주의적 견지에서 현실을 보면 어차피 소수가 다수를 착취하는 구조로 세상은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페소아의 통찰을 더 깊이 허무주의적 입장에서 살피면 다음과 같은 말도 성립된다. 외부의 그 어떤 상황도 자신 내면보다 우선하지는 않는다는 것. 지속 가능한 내면의 일상성이 유지되는 한 바스케스 씨를 위해 일하는 소아레스는 평화롭다. 힘겨워도 허영과 불가능을 위해 혹사당하는 것보다는 양심적이기 때문이다. 견디기 힘든 것은 스스로 제 영혼을 갉아 먹는다는 인식을 하는 바로 그 순간이다. 자의식에 곰팡이가 스미는 그 때야말로 소아레스는 바스케스 씨를 떠나야 한다.

/김살로메(소설가)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