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월성1호기 안전성 판단해야 지역민이 안심한다

등록일 2015-02-26 02:01 게재일 2015-02-26 18면
스크랩버튼
▲ 조현배한수원 월성원자력본부 경영지원실장
`퉁퉁 불어터진 국수`가 지난 24일자 인터넷 검색어 상위에 올랐다. 박 대통령이 23일 경제 정책의 타이밍을 강조하며 부동산 3법의 늑장 처리를 `불어터진 국수`에 비유해 화제 검색어에 오르게 된 것이다.

타이밍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일이 제대로 되려면 너무 빨라도 늦어도 안된다. 설익은 과실을 서둘러 따버리면 떫고 시어서 먹을 수 없고 추수 시기를 너무 늦추면 물러버려 맛도 없고 상품 가치도 떨어진다. 일을 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이 때를 놓치지 않는 것이다. 때를 놓치면 일 자체를 그르치게 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대부분은 만시지탄(晩時之歎)이 문제이다. 무르익지 않은 일을 급히 추진하다 문제가 생기면 다음을 기약할 수 있지만, 적기를 지나쳐 늦어지면 일을 해놓고도 효과가 반감되고 `퉁퉁 불어터진 국수`처럼 맛이 없어진다. 일이 늦어져 기회를 놓치고 원통해서 탄식까지 하게 된다는`만시지탄`이라는 말이 그냥 나온 것이 아니다.

월성원전1호기 계속운전에 대한 결정도 지나치게 늦어져 국가의 경제적 손실과 함께 사회적 갈등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월성1호기가 운영허가기간(설계수명)이 지나 정지 후 계속운전 결정을 기다린 지 2년 3개월이 지났다. 월성1호기가 한 해 동안 생산하는 발전량은 51억kWh로 대구와 경북 지역 가정용 전기 소비량의 80%에 해당한다. 월성1호기가 서있는 동안 LNG를 원료로 전기를 생산하는 추가 대체발전 비용은 연간 약 4천억~5천500억원이다. 2년 3개월 간 정지해있는 동안 추가 발생된 발전비용은 얼추잡아도 1조원에 이른다. 올해 전국 저소득층 초·중·고생 100만 명에게 지급되는 교육비에 해당된다.

갈등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더 엄청나다. 계속운전 결정이 늦어지면서 월성원전 인근 지역민의 갈등 문제가 커지고 있다. 주민 단체들이 결성되고 연일 시위를 벌이는 것도 두 달 전부터 본격화하고 있다. 5년 넘게 끌고 있는 계속운전 결정이 조금만 더 일찍 났더라도 줄일 수 있는 일이었다.

심사 기간이 5년을 넘어가자 세간에는`월성1호기에 문제가 있어서 늦어지고 있다`는 근거 없는 소문이 나돌고 일부 환경단체들은 원전 핵심 안전과 연관되지 않은 일까지 들먹이며 월성1호기를 쟁점화하고 있다.

원전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은 있고 정확한 정보는 없는 일반 국민들 입장에서는 언론 등에서 원전에 대해 자주 언급하고 환경단체가 이슈화하는 것 자체로 불안해 할 수밖에 없다.

원자력안전기술원은 지난해 9월 월성1호기 계속운전에 필요한 기술적 인·허가에 대해서 이미`적합` 판정을 내렸다. 이는 월성1호기를 재가동하는데 기술적으로 안전하다는 의미이다. 또 극한 자연재해 상황이 닥쳤을 때를 가상한 스트레스테스트에 대한 원자력안전기술원(KINS) 검증단과 민간검증단의 평가 결과도 나왔다. 1만 년에 한 번 일어날 수 있는 극한상황을 대비해 양측이 원전 안전성을 더 강화하라고 개선사항을 내놓았고 이에 대한 이행계획을 한수원이 수립 중이기 때문에 조치사항을 냉엄하게 지켜보면 좋겠다.

월성원전에서 일하고 있는 간부로서 월성1호기 재가동 준비는 완벽한 수준이라고 자신있게 말 할 수 있다. 기회가 있을 때마다 월성1호기의 기술적 안전성을 설명하지만 지역민들은 불안감을 쉽게 떨치지 못하는 것 같다. 이때 필요한 것이 보다 중립적이고 기술적 권위를 확보하고 있는 전문가집단의 판단이다.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이미 월성1호기 안전점검 이후 “계속운전에 대한 기술적 안전성이 확보돼 있다”고 판단을 했고 5년 간 세밀한 검증작업을 한 원자력안전기술원도 기술적 적합 판정을 내렸다.

조만간 지역민들이 믿고 따를 수 있는 월성1호기 안전에 대한 최종 결정이 내려질 것으로 보인다. 원전 주변지역 주민들이 안심하고 일상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안전에 대한 명확한 판단이 꼭 필요하다.

특별기고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