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용 한
초승달 카페는 가끔 아프고
헐거운 주인이 마호가니 바에 앉아서
물고기처럼 술을 마신다
어느 새처럼 울던 사내는 오지 않는다
처음부터 새와 물고기가 사랑한 저녁은 없었다
절대로 그런 일은 없다
구름이 벗겨진 천장과
강물이 흘러간 마룻바닥과
천둥과 번개만이 누렇게 얼룩진
초승달 카페는 천 길 벼랑 끝에서 삐걱이고
아침이면 아가미 같은 문을 닫는다
허공에 위태롭고도 이쁘게. 동그마니 떠 있는 초승달을 카페로 상상하는 시인의 상상력이 놀랍다. 시인의 기다림이 그 초승달 카페 안에는 가득하다. 오지 않는 사랑을 기다리는 카페에서 새와 물고기의 사랑이 불가능하지만 그래도 그런 불가능한 사랑이라도 이 초승달 카페에서는 가능해질 수 있지않을까 하는 기다림으로 시인은 허공의 초승달 카페를 지키고 있는 것이리라.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