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축구 역사와 함께하고 있는 포항스틸러스가 올해 한국 축구 역사의 새로운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K리그 최초로 `FA컵과 K리그 클래식`을 동시 석권한 것.
시즌 초, 국내선수들로 구성된 포항은 축구 전문가들로부터 하위권에 머물 것이라는 혹평을 받았지만 포항은 탄탄한 조직력과 100%를 초과하는 투혼을 발휘하며 30년 한국프로축구의 역사를 갈아치우는 더블을 달성했다. 특히 포항은 팀 창단 40주년을 맞아 더블 달성과 최고의 흥행까지 주도하며 축구명가에 걸맞는 한 해를 보냈다.
기분 좋았던 포항의 2013년을 결산 리뷰를 통해 되돌아 본다.
`전약후강` 징크스 깨고 시즌 내내 상위권 행진조직력과 패스로 무장, 토종군단이 이룬 신화
포철고 더블 달성 등 유스팀도 최강 실력 과시
△`기회의 땅` 터키 안탈리아… 전지훈련지서 `폭풍의 핵`지난 1월 20일, 포항은 올 시즌을 대비해 터키 안탈리아에 전지훈련 캠프를 차렸다.
전술훈련과 유럽 강팀과의 연습 경기를 통해 어린 선수들의 경기 감각 향상에 초점을 맞췄던 것. 전지훈련 첫 연습경기에서 포항은 2012년도 크로아티아리그 1위팀 디나모 자그레브를 상대로 2-1 역전승을 거뒀다. 동유럽의 강호팀을 꺾었다는 소식은 안탈리아 전지훈련장에 빠르게 퍼졌고, 크로아티아, 러시아 등 전지훈련 온 동유럽 명문구단 20개팀이 포항과의 연습경기를 갖자며 문의가 쇄도할 정도. 하지만 포항은 전지훈련지에서 얻은 가장 큰 성과는 선수들의 체력 강화였다고 볼 수 있다. 전지훈련지에서 만난 노병준 등 대부분의 선수들은 `오전, 오후에 치러지는 강도 높은 체력 강화훈련에 입에 단내가 난다`며 너스레를 떨 정도. 올 시즌을 대비한 포항의 `강철전사`로 거듭나기 위한 담금질이 더블 달성에 밑거름이 됐다.
△아쉬움 삼킨 AFC 챔피언스리그`더블` 달성으로 최고의 한 해를 보냈지만 시즌 초 치러진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에서는 고배를 마셨다. G조에 속했던 포항은 1승 4무1패 조 3위를 기록, AFC 챔피언스리그 16강 진출이 좌절됐다.
FA컵, K리그클래식, ACL 등 트레블 달성에는 실패했지만 ACL 조기탈락이 리그에 집중할 수 있는 체력적인 부담을 덜었다고 볼 수 있다.
포항스틸러스는 전통적으로 전반기에 약하고 후반기에 강한 `전약후강`의 전력을 보여왔다.
대체적으로 포항은 8~9월 이후 리그 상위권에 진입하는 기록을 보여왔기 때문. 이 때문에 시즌 초반에는 성적이 다소 좋지는 못했다.
그러나 올 시즌은 달랐다. 포항은 시즌초반인 3월 16일(3라운드) 리그 6위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고 포항은 1,2위권에 머물렀다.
특히 5월18일 울산과의 경기 전까지 6승5무를 기록, 지난 시즌을 포함해 무려 19경기에서 무패(11승8무)행진을 이어가기도 했다. 스플릿 A에 속한 포항은 10월 20일 울산에 선두를 내주고 줄곧 2위를 기록했지만 마지막 라운드에서 대역전극을 펼치며 리그 정상을 차지했다.
올 시즌 포항은 `전강후강`의 모습을 보여주며 그동안 겪었던 징크스를 시원하게 털어냈다.
△포항 키워드 토종군단이 만든 `스틸타카`올 시즌 포항의 키워드는 국내선수들이 만든 `스틸타카`로 집약된다. 세계적인 철강 경기 악화에 따른 모기업인 포스코의 지원이 줄어든 포항은 국내선수로만 팀을 꾸렸다. 국내파로 구성된 `토종군단` 포항은 조직력을 앞세운 정교한 패스를 선보였다.
`스틸타카`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화려한 패스 축구인 `티키타카`를 빗댄 신조어라고 볼 수 있다.
중원에서 이뤄지는 끊임없는 패스를 통해 공격 기회를 엿보고, 공격지역에서는 원터치 패스 서너 번으로 득점으로 이어졌다. 경기를 거듭할수록 패스의 정교함이 높아졌다. 시즌 막판 6연승을 달리며 역전 우승 드라마를 펼치게 했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K리그 최초 `FA컵` `K리그 클래식` 우승10월 19일 프로와 아마추어를 총망라한 한국축구의 최강자를 가리는 FA컵 결승전이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렸다. 포항은 전북현대를 상대로 120분간의 혈투에도 승부를 가리지 못해, 이어진 승부차기에서 신화용 골키퍼의 선방에 힘입어 PK4-3으로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FA컵 정상을 밟은 포항은 지난해에 이어 FA컵 2연패를 달성했다. 이로써 포항은 FA컵 통산 네 번째 우승트로피를 들어올렸다. 우승을 맛본 선수들은 K리그 우승 의지를 더욱 불태웠다. FA컵 결승전까지 포항은 리그에서 5경기 무승부를 기록했다. 하지만 우승컵을 든 `토종군단`은 리그에서 5연승을 달렸고, 마지막 최종라운드에서 울산을 꺾으며 K리그 클래식 우승컵까지 거머쥐었다.
지난 2007년 우승 뒤 6년 만에 K리그 클래식 우승을 차지한 포항은 통산 다섯 번째 우승트로피를 들어올렸다.
국내선수들로만 구성된 포항스틸러스가 더블을 달성한데는 `유스시스템`이 있어 가능했다.
황선홍 감독이 지난 2010년 포항을 맡으면서 가장 무게를 뒀던 것은 다름 아닌 유소년 육성이었다. 포항 핵심으로 자리잡은 고무열, 신진호, 이명주, 김승대 모두 포항 유스팀 출신이다. 올 초 포항은 `꿈나무 창조 기획단`을 신설, 선수육성에 힘을 보탰다. 기획단은 선진 클럽과 기술 교류, 정보 수집, 성공 사례 등을 U-12(포철동초), U-15(포철중), U-18(포철고)로 이어지는 포항의 유스 시스템 소속 선수들에 대해 접목시켰다.
이 같은 노력의 결과물로 포철고가 `더블`을 달성했다.
포항스틸러스 산하 18세 이하 유소년팀인 포철고 축구부는 `2013 대교눈높이 전국 고등리그 왕중왕전(11월)`과 `아디다스 올인 챌린지리그(9월)` 우승트로피를 들어올렸다. 아디다스 올인 챌린지리그는 국내 프로팀들이 운영하고 있는 유스팀들이 모두 출전, 사실상 미리 보는 K리그 클래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들이 향후 K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들로 포철고의 우승은 포항의 미래와 한국축구의 미래를 밝게 하고 있다.
/김기태기자 kkt@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