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꼼꼼한 위생·품질 관리로 지역 최고 특산물로 거듭 날 것”

고세리기자
등록일 2013-11-22 02:01 게재일 2013-11-22 6면
스크랩버튼
김점돌 구룡포과메기 협동조합 이사장
- 구룡포 과메기와 평생을 함께했는데, 혹시 과메기와 연관된 에피소드가 있다면.

△과메기가 유통이나 생산이 요즘처럼 전문화되기 전인 옛날엔 먹을거리도 많이 없고 음식이 지금보다 훨씬 귀했다. 구룡포에서 태어나고 쭉 자라 과메기를 늘 먹고 자랐는데, 덜 마르거나 상품성이 떨어져 팔 수 없는 과메기들이 너무 아까워 나름의 요리법으로 감나무잎을 깔고 쪄먹으면 된다는 이야기를 듣고 쪄먹었다. 먹을 때는 정말 둘이 먹다 하나 죽어도 모른다는 말이 실감 날 정도로 맛있게 실컷 먹었는데, 배탈이 나서 고생했던 기억이 난다. 배탈에 대한 후처방으로 쌀뜨물을 마시면 된다고 해서 병원도 안 가고 쌀뜨물을 마셨다. 하하하. 지나고 나니 젊은 날의 추억이다. 물론 따라하면 절대 안 된다.

요즘은 생산방법이 전문화되고 위생상태가 최우선 되는 사항이므로 늘 철저하게 선별 및 점검하고 있다. 그러므로 위생에 대한 염려는 안 하셔도 된다.

- 구룡포 과메기가 특별히 유명한 이유는.

△구룡포의 지리적 특성이 맛있는 과메기를 만들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구룡포의 여름은 포항의 시가지보다 시원하고, 겨울은 따뜻하다. 과메기를 건조할만한 최적의 온도 조건을 가진 곳이 바로 구룡포다.

날씨가 너무 추우면 꽁치가 꽁꽁 얼어 과메기의 맛이 떨어지는데, 밤엔 적당히 내려간 온도로 과메기가 살짝 얼고 낮에는 다시 녹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육질이 부드러워지게 된다. 또 바다의 습기를 머금은 눅눅한 바람이 호미곶 산을 넘어 건조한 바람으로 바뀌면서 과메기를 먹기 좋게 마르도록 도와준다. 잘 마른 구룡포 과메기는 이렇게 숙성돼 비린내가 나지 않고 고소하며 쫀득한 육질을 자랑한다. 구룡포 과메기는 가공하는 음식이 아니라 햇빛·온도·습도·바람 네 가지 조건을 갖춘 자연이 만드는 별미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최근 포항을 넘어 전국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데.

△사실 구룡포 과메기가 상품화돼 타지역에 본격적으로 알려진 것은 10년이 채 안 됐다. 그동안 전국을 돌아다니며 홍보에 힘쓰고 직접 발로 뛴 효과가 이제 빛을 발하는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이렇게 많은 분이 찾는 이유는 물론, 구룡포 과메기가 가진 맛과 영양 등이 뛰어난 이유가 가장 클 것이다. 사실 예전엔 포항 특산물로 포항 시민들이 주로 많이 찾았던 음식이지만, 이제는 서울·대구 등 전국적으로 바다가 인접하지 않아 과메기가 다소 생소한 지역에도 판매량이 늘며 그 인기를 실감하고 있다.

- 맛있게 먹는 방법은.

△예전에는 회 먹듯, 초고추장에 그냥 찍어 먹거나 김에만 싸먹는 경우가 많았는데 인기가 많아지며 맛있게 먹는 방법이 여기저기서 많이 알려졌다. 배추와 생김, 쪽파, 마늘 고추 등을 곁들여 생미역과 함께 초고추장에 푹 찍어 먹으면 최고의 맛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손질한 과메기는 칼이나 가위 등을 이용해 자르는 것보단 역시 손으로 쭉쭉 찢어 먹어야 제맛이다. 최근 젊은 여성분들은 쌈을 싸먹는 것보다 과메기를 잘게 찢어 각종 신선한 채소와 함께 아삭한 맛을 살려 초고추장에 비벼 먹는 `과메기 무침`도 선호하고 있다.

남은 과메기를 보관하려면 수분 증발을 막도록 신문이나 깨끗한 종이에 말아 밀봉해 냉동실에 보관해 두고 빠른 시일 내에 먹는 것이 좋다.

- 최근 구룡포 과메기 가공공장이 준공됐는데 앞으로의 각오는.

△이번 공장 준공으로 생산 방식이 현대화됐다.

위생이나 품질을 검사할 수 있는 검사장비도 갖췄으며 직접동결시설도 마련해 체계화했다. 조합이 꽁치를 공동 수매해 원가를 절감하는 등 어민의 소득증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품질 관리 등에 힘을 기울여 구룡포 과메기가 최고 특산물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할 것이다.

/고세리기자 manutd20@kbmaeil.com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