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갑과 을

등록일 2013-10-10 02:01 게재일 2013-10-10 18면
스크랩버튼
강 영 환
갑과 을이 나란히 길을 걸었다

노을을 향하거나 아니면 땡볕 아래

가까워질 수 없는 간격을 두고 손을 잡았다

세상 사람들은 갑이 아니면 을이다

배부른 너는 갑이 되고

배곯은 나는 을이 되어

지극히 개인적 혹은 현실적인 입술로 탁자를 가운데 두고

서로를 속셈하는 눈빛을 가늠해 보았다

네 입가에 맺힌 미소는 엉킨 곁눈질에 들키지 않았다

색이 상반되는 두 얼굴로 불평등 생존협약을 체결하지만

흐르는 물결, 출렁거리는 파도 속에는 언제나

반은 갑이고 나머지는 을이어서

경계는 등거리에서 충돌했다

틈이 많은 갑과 을 사이 발자국이 아프다

최근 우리 사회에 이슈로 떠오른 말이 있다면 `갑과 을`이라는 말일 것이다. 사회학적인 의미가 깊이 깔린 이 말을 가만히 들여다보면서 과연 그 양분에 따른 경계는 이렇듯 냉혹하게 존재하는 걸까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등거리에서 수없이 충돌하는 그 가파른 관계들이 그 냉혹한 경계들이, 그 아픈 발자국들이 유화적으로 변하고 무너지고 치유되는 길은 없는걸까. 시인의 안타까움에 깊이 동의해보는 아침이다.

<시인>

김만수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