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선전을 뜨겁게 달구었던 안철수가 다시 돌아 왔다. 그는 `정치를 하겠다`는 약속대로 여의도 정치에 당당하게 입성했다. 그러나 그가 국회의원 금배지가 목표가 아니라는 점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국회의원 안철수가 정치 개혁을 위해 어떤 정치적 행보를 보일지는 현재로서는 예측하기 어렵다. 우선 신인 정치인 안철수는 자세를 낮춰 공손하게 인사하는 `예절 정치`로 선을 보이고 있다. 우리의 최대 관심은 그가 언제 신당을 창당하고, 차기 대권에 어떤 방식으로 도전할 것인가에 달려 있다.
그의 신당 창당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정치적 입장에 따라 생각을 달리 한다. 지난 대선전에서 단일화의 악몽을 격은 여당 새누리당으로서는 그의 창당을 겉으로 환영할 수는 없지만 반대할 이유는 없다. 통합 민주당의 문희상 비대위원장도 `안철수의 신당은 민주당과 안철수의 공멸`을 초래한다고 비판적이다. 대선 후보의 경력이 있는 박찬종은 부산 영도에 입후보하지 않고 서울 노원에서 안이하게 출마한 안철수의 정치는 이미 끝나 버렸다고 혹평한다. 일단 무소속 국회의원으로 출발한 안철수의 신당 창당 문제는 정치권뿐 아니라 여론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우선 안철수 신당 출현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찬성하는 여론도 상당수 있다. 안철수가 신당을 창당하면 지지하겠다는 여론이 민주당을 압도한다는 여론 조사도 있다. 새 정부가 출범됐지만 한국 정치의 구태와 고질병은 아직도 여전하기에 신당 창당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사실 여야가 지난 총선이나 대선에서 정치 개혁에 관한 거창한 청사진을 앞 다투어 제시했지만 아직도 가시적 성과는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창당 수준의 혁신이 요구되는 통합 민주당이 아직도 자체 개혁은 지지부진하고, 전통적 지지 기반인 전라도의 민심도 새로운 야당을 갈망한다는 것이다. 안철수 신당이 창당만 되면 야권 의원들뿐 아니라 일부 여당 의원들의 탈당 도미노로 이어져 또 다시 안철수 돌풍이 신당으로 승화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결론부터 말하면 안철수의 신당은 성공할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 우선 우리의 정치사에서 대선을 위한 신당 창당은 성공한 경험이 전무하기 때문이다. 정주영, 이인제, 박찬종, 문국현으로 이어지는 신당은 결국 하나 같이 실패하고, 그들의 대권의 꿈도 멀리 사라져 버렸다. 여기에는 이 나라에 깊이 뿌리내린 양당구도가 제 3신당을 엄격히 가로 막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실적으로 안철수 바람을 고대하고 환영했던 지난해 대선정국의 민심은 이제 소멸했다는 분석도 있다. 현재로서는 지난 대선전에서 안철수의 정치 행태에 실망을 느낀 무당파들이 다시 안철수 신당으로 돌아오기에는 명분도 여건도 약하다. 더욱이 그의 경력과 인간적인 매력, 그의 정치 이상에 끌린 이상적인 지지층과 정치인 안철수에 대한 현실적인 지지층은 구분돼야 한다는 것이 지난 대선전에서 얻은 분명한 학습효과이기 때문이다.
안철수는 앞으로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그는 이제 선택의 기로에 서있다. 여기에 정치인 안철수의 고민이 있다. 우리가 여태껏 본 것처럼 그의 선택은 쉽게 끝나지 않고 다시`안철수 생각`에 들어갈 것이다. 신당 창당을 통한 대권의 꿈과 여의도 정치의 현실적 장벽사이에서 그의 고민은 더욱 깊어갈 것이다. 그는 최선이 어렵다면 차선의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다. 그가 개혁의 발판으로 야당인 민주당을 택하여 개혁의 꿈을 실현하는 것이 오히려 현명한 판단일지도 모른다. 오염되고 아직도 구태를 청산하지 못하는 민주당의 개혁 작업에 동참하여 두각을 나타내는 것이 안철수의 꿈을 현실화하는 방안은 아닐까 . 정치는 이상이 아니고 현실이라는 지극히 평범한 진리를 두고 안철수는 오늘도 고민에 빠져 있는 듯하다. 그의 현명한 판단을 기다릴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