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노동이란 말에 알레르기를 일으킨다. 노동당, 노동투쟁, 노동자와 사용자 등의 예에서 보듯이 `노동`이란 말이 품고 있는 사회정치적 의미가 강경하거나 불온한 경향이 있다고 생각한다. 몇 번의 혼란 끝에 노동절의 날짜는 5월 1일로 정착했지만 오죽하면 그 기념일 이름은 `근로자의 날`에 붙박여 꼼짝도 하지 못하겠는가.
근로와 노동의 차이는 무엇일까? 근로는 `부지런히 일함`을 의미하고, 노동은 `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얻기 위하여 육체적 노력이나 정신적 노력을 들이는 행위`라고 정의되어 있다. 노동절이 근로자의 날이 된 데는 사전적 뜻과는 무관한, 단순히 정치적 논리에 의해서겠지만 따지고 들자면 불쾌한 면도 없지 않다. 낱말의 의미대로라면 부지런히 일한 자만을 위한 날이 근로자의 날이 되고 만다. 그에 비해 본래의 노동절로 되돌릴 경우 육체적 정신적 노력을 하는 모든 사람을 위한 날이라고 확장된 정의를 내릴 수 있다.
노동이라는 말 자체는 원래 신성하기 그지없다. 한데 왠지 노동은 노예 또는 종속의 개념으로 이해되는 게 현실이다. 그런 의미에서는 노동절이란 말도 씁쓸하게 와 닿는다. 주인의 생산성을 위해 이만치 일한 대가로 그날 하루만큼은 쉬어도 좋다는 시혜의 느낌이 다분하기 때문이다. 자발적 유희의 노동이나 자신의 개발을 위한 노동이라면 타의에 의해 노동의 휴식을 명받을 필요가 없지 않은가. 싱그런 오월을 맞으면서 `노동`이란 고매한 가치의 낱말이 이래저래 휘둘리는 걸 보니 아직 내 마음의 오월은 맞을 채비가 덜 되었나보다.
/김살로메(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