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릉·독도 녹색섬 조성계획 `암초`

김두한기자
등록일 2013-04-16 00:05 게재일 2013-04-16 8면
스크랩버튼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 무산… 일부사업 실효성 낮은 것으로 나타나
▲ 울릉도 그린 아일랜드 조성 조감도.
【울릉】 울릉도와 독도를 저탄소 녹색성장의 대표 섬으로 가꾸고자 이명박 전 대통령의 특별지시로 시작된 울릉도·독도 녹색 섬(그린 아일랜드) 조성 계획이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했다.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이 무산된 데다 애초 계획한 일부 사업은 실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지난해 3천78억 원이 투자되는 사업을 예비타당성 조사에 반영해줄 것을 정부에 신청했으나 심의에서 반영되지 않았다.

울릉군은 경북도와 함께 2011~2019년까지 총 3천억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될 울릉도 녹색 섬 조성사업은 그린에너지로 자립하고, 녹색생활과 녹색관광이 어우러지는 세계적인 녹색 섬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었다.

군은 지난 2011년 울릉도·독도를 대한민국 녹색 대표 섬(Green Island)으로 조성하고자 아시아 최초로 국제민간기구인 국제녹색 섬 협회(ISLENET) 가입했다.

특히 덴마크 삼쇠 섬을 모델로 한다는 계획에 따라 2010년 1월 울릉군수가 관계공무원 및 민간회사 전문가들과 함께 덴마크 삼쇠 도로 건너가 존 미센 삼쇠 시장과 신재생에너지 협력 증진을 위한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풍력·태양열·바이오 매스 등 신재생에너지만 활용, 섬 전체 에너지 수요의 99.6%를 충당하는 삼쇠 섬은 유틀란트반도 동쪽 약 15km 떨어진 카테가트해협에 있는 덴마크 섬으로 면적 114㎢, 울릉도(72.89㎢) 보다 크고 인구(4천200명)는 울릉도(1만398명)보다 적다.

울릉군은 이를 모델로 울릉도에 심부 지열 발전단지, 독립전원 도서형 스마트 그리드 시범지구, 소형풍력발전단지 조성, 폐기물 바이오 매스 에너지 생산시설 구축, 수전해 수소생산 실증단지 조성, 소 수력 발전시설 설치 등 6개 사업이다.

경북도는 전체 사업의 일괄 추진은 어렵다고 보고 단위사업별로 예산 확보에 나섰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지열발전을 위한 시추와 경제성 여부를 판단하는 데 당장 7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지만 이를 확보하지 못했다.

특히 울릉도는 바람이 일정하지 않고 해무가 많이 끼는 특성상 풍력과 태양광 발전은 현재 기술로는 육지보다 실효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김두한기자

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