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2차인선도 전무… 역차별 논란<br>청와대 비서실장 등 비서진 포함 기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13일 발표한 2차 인선안에 박 당선인의 고향인 대구·경북 출신인사들이 전무해 역차별 논란이 일고 있다.
다만, 이날 발표에서 제외된 청와대 비서실장 등 비서진 인선에 대구·경북 인사들이 포함될지가 주목되고 있다.
13일 발표된 새정부 국무위원 후보자들의 출신지역은 서울이 3명(황교안 법무, 윤병세 외교, 서남수 교육)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인천(유정복 안전행정, 유진룡 문화체육관광)이 2명이며, 경남(김병관 국방)이 1명이다.
앞서, 지난 8일 발표된 1차 인선에서의 정홍원 총리 후보자는 경남, 박흥렬 청와대 경호실장은 부산,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은 광주 출신이다.
박 당선인의 고향인 대구·경북 출신인사는 현재까지 단 한명도 없다.
또한 향후 3차 인선에서도 박 당선인이 강조하고 있는 `국민대통합`차원에서 경찰청장, 국세청장 등 권력기관장 등에 호남 출신 인사가 다수 포함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경우 새정부의 조각 인선에는 대구·경북 출신 인사들이 완전 배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번주 중으로 발표될 것으로 보이는 청와대 비서실장·수석비서관 등 비서진의 인선에는 친박계 핵심 대구·경북 출신 인사들이 일부 포함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현재까지 청와대 비서실장으로 거론되는 지역출신 인사는 박 당선인의 대통령후보시절 비서실장을 지냈던 최경환(경북 경산) 의원, 경제부총리에는 이한구(대구 수성갑) 새누리당 원내대표 등이다. 이밖에 청와대 비서진과 내각 추가인선 대상자로 거명되는 지역인사는 대통령직 인수위의 경제1분과위 간사인 유성걸(대구 동갑)의원과 경북 봉화 출신으로 인수위 국정기획조정위원인 강석훈(서울 서초을) 의원, 대구출신으로 인수위 고용복지위원인 안종범(비례대표) 의원 등이다.
/이창형기자
chlee@kbmaeil.com